목차
책머리에 = 3
1부 비평과 망명 = 19
망명의 비평 : 임화·에드워드 사이드·가라타니 고진과의 만남
1. 만남, 그리고 비평의 아포리아 = 21
2. 임화와 슬픔, 그리고 현재와의 대화 = 23
3. 에드워드 사이드-망명으로서의 비평 = 33
4. 가라타니 고진-종언의 신화를 넘어서, 혹은 또 다른 망명의 길 = 39
5. 만남, 그리고 고독한 비평의 여정 = 45
추억과 집착 : ‘근대문학의 종언’과 그 논의에 대하여
1. ‘근대문학의 종언’이라는 유령 = 48
2. ‘근대문학의 종언’에 대한 오해들 = 52
3. 문학환경의 본질적인 차이는 존재하는가? = 55
4. 제도를 심문하는 비평 = 60
5. 글을 맺으며-그는 결코 집착하지 않는다 = 66
자유와 타자, 그리고 비평 : 비평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몇 가지 제안
1. 비평의 새로운 길 찾기 = 69
2. 외국문학 전공 비평가들의 감소와 그 문화사적 맥락 = 73
3. 비평을 위한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 = 77
4. 전업비평가가 가능한 시대를 꿈꾸며 = 79
이론의 매력과 비평의 전회 : 가라타니 고진의『세계공화국으로』에 대하여
신진비평가 S형에게 = 81
도정일의 문학비평에 대한 몇 가지 단상 = 92
매혹과 비판사이 : 김현의 대중문화 비평에 대하여
1. 다시 김현을 이해하기 위하여 = 103
2. 무협소설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김현의 초기 대중문화 비평 = 108
3. 대중문화에 대한 계몽주의적 시선을 넘어서 = 111
4. 대중문화와 ‘문학’ = 117
5. 매혹과 비판 사이-대중문화에 대한 균형 잡인 인식 = 121
6. 김현을 기억하기 위하여 = 123
2부 텍스트와의 연애를 넘어 = 125
조숙한 청춘의 문학 : 김애란론
1. 청춘의 문학 = 127
2. 드러냄과 감춤-김애란 소설이 보여주는 것, 보여주지 않는 것 = 131
3. 비유의 성좌와 문체미학 = 135
4. 타자, 고독, 상호텍스트 = 139
5. 새로운 도약을 위하여 = 144
서사의 창조적 갱신과 리얼리즘의 퇴행 사이 : 황석영의『바리데기』론
1. 서사의 위기와 황석영의 재기 = 146
2. 새로운 서사의 실험과 탈북 난민의 현실 = 152
3. 서사무가「바리공주」형식의 차용은 필연적인가? = 155
4. 다시 문제는 리얼리즘이다 = 159
5. 맺음말-욕망의 풍경과 자기 객관화 = 163
회색인, 유목민, 오리엔탈리즘 : 최인훈의『회색인』다시 읽기
1. 『회색인』의 재평가를 위하여 = 168
2. 전통적인 소설 형식의 해체 = 171
3. 독고준-근대적 개인주의와 유목민적 주체 = 175
4. 한국문화의 정체성과『회색인』의 문제의식 = 179
5. 『회색인』의 현재성 = 185
6. 이 시대의 최인훈을 위하여 = 187
예술을 위한 예술과 정치적 보수주의 : 이문열의 예술가소설에 대해
1. 예술가소설은 무엇인가? = 190
2. ‘예술을 위한 예술’의 시원(始原)-「들소」 = 192
3. 두 가지 예술관의 갈등과 낭만적 예술가소설-「금시조」 = 198
4. 불립문자(不立文字)의 세계-『시인』 = 203
5. 예술의 자율성과 정치적 보수주의 = 205
도시산업화시대의 문학적 대응 : 최인호론
1. 대중작가라는 편견을 넘어 = 213
2. 산업화시대의 고독-「타인의 방」의 문제의식 = 214
3. 미문의 매력과 사회적 상처의 소설화-「깊고 푸른 밤」 = 218
4. 최인호 초기 중단편소설의 재평가를 위해 = 222
문체, 지성, 풍속 : 김훈, 정찬, 김원우의 소설에 대해
1. 김훈의 문체 = 223
2. 정찬과 지성 = 226
3. 김원우와 풍속 = 230
짧은 만남, 긴 여운 : 허만하, 최윤, 김원일, 정길연, 서정주
1. 청춘의 시-허만하의 신작시 = 238
2. 육체적 감각의 진실-최윤의「느낌」 = 240
3. 영롱한 무지개의 미학-김원일의「손풍금」 = 243
4. 대필작가의 운명-정길연의「몸살」 = 245
5. 논쟁의 균형 감각-서정주 = 247
3부 에세이의 매혹 = 249
망명, 디아스포라, 그리고 서경식
1. 비평 대상의 확장을 위하여, 혹은 에세이를 위한 변명 = 251
2. 미술과 역사의 만남 = 256
3. 소년과 난민(디아스포라)사이에서 = 263
4. 자기 성찰의 풍경과 타자에 대한 상상력 = 274
5. 글을 맺으며-고통스러운 아름다움에 대해 = 283
만남의 글쓰기, 혹은 에세이의 매혹 : 1970년대 김현 글쓰기의 한 풍경
1. 김현을 탐구하기 위한 새로운 지평 = 286
2. 예술기행의 의미와 에세이비평 = 288
1) 성찰과 문화적 다양성 = 289
2) 단장(epigram)형식의 에세이 = 292
3) 고통의 예술과 전복(顚覆)정신-김현의 미술 에세이 = 296
4) 바슐라르와의 만남-현장 취재를 통한 글쓰기 = 300
3. 만남을 통한 공감의 글쓰기-『시인을 찾아서』 = 303
4. 글을 맺으며-김현 비평과 에세이의 매력 = 309
성찰적 유미주의자의 열린 시선 : 고종석의『모국어의 속살』에 대한 몇 가지 단상 = 311
박노자에 관한 몇 가지 단상 :『당신들의 대한민국』에 대하여
1. 새로운 논객의 출현 = 323
2. 투철한 윤리적 감수성 = 326
3. 통시적인 역사적 맥락에 근거한 비판 = 328
4. 타자에 대한 이해와 자기 성찰 = 330
5. 짧은 단상-외부로부터의 비판, 그 의미 = 332
6. 박노자, 그 이후 = 333
4부 문학의 둘레 = 335
문학과 영화 : 영상시대의 문학교육에 대해
1. 영상문화와 문학교육의 혁신 = 337
2. 문학교육이 영화를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 341
3. 영상으로 번역되지 않는 문학의 자리 = 349
1) 원작소설과 영화의 차이점 = 350
2) 영화로 만들어지지 못하는 소설들 = 356
4. 맺음말-문학과 영화가 함께 가기 = 359
문학과 역사, 그 행복한 만남을 위해
1. 다시 역사를 만나기 위해 = 362
2. 현대사 연구의 진전과 소설의 개화 = 364
문학과 여론 : 선택과 배제의 딜레마 = 373
책머리에 = 3
1부 비평과 망명 = 19
망명의 비평 : 임화·에드워드 사이드·가라타니 고진과의 만남
1. 만남, 그리고 비평의 아포리아 = 21
2. 임화와 슬픔, 그리고 현재와의 대화 = 23
3. 에드워드 사이드-망명으로서의 비평 = 33
4. 가라타니 고진-종언의 신화를 넘어서, 혹은 또 다른 망명의 길 = 39
5. 만남, 그리고 고독한 비평의 여정 = 45
추억과 집착 : ‘근대문학의 종언’과 그 논의에 대하여
1. ‘근대문학의 종언’이라는 유령 = 48
2. ‘근대문학의 종언’에 대한 오해들 = 52
3. 문학환경의 본질적인 차이는 존재하는가? = 55
4. 제도를 심문하는 비평 = 60
5. 글을 맺으며-그는 결코 집착하지 않는다 = 66
자유와 타자, 그리고 비평 : 비평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몇 가지 제안
1. 비평의 새로운 길 찾기 = 69
2. 외국문학 전공 비평가들의 감소와 그 문화사적 맥락 = 73
3. 비평을 위한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 = 77
4. 전업비평가가 가능한 시대를 꿈꾸며 = 79
이론의 매력과 비평의 전회 : 가라타니 고진의『세계공화국으로』에 대하여
신진비평가 S형에게 = 81
도정일의 문학비평에 대한 몇 가지 단상 = 92
매혹과 비판사이 : 김현의 대중문화 비평에 대하여
1. 다시 김현을 이해하기 위하여 = 103
2. 무협소설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김현의 초기 대중문화 비평 = 108
3. 대중문화에 대한 계몽주의적 시선을 넘어서 = 111
4. 대중문화와 ‘문학’ = 117
5. 매혹과 비판 사이-대중문화에 대한 균형 잡인 인식 = 121
6. 김현을 기억하기 위하여 = 123
2부 텍스트와의 연애를 넘어 = 125
조숙한 청춘의 문학 : 김애란론
1. 청춘의 문학 = 127
2. 드러냄과 감춤-김애란 소설이 보여주는 것, 보여주지 않는 것 = 131
3. 비유의 성좌와 문체미학 = 135
4. 타자, 고독, 상호텍스트 = 139
5. 새로운 도약을 위하여 = 144
서사의 창조적 갱신과 리얼리즘의 퇴행 사이 : 황석영의『바리데기』론
1. 서사의 위기와 황석영의 재기 = 146
2. 새로운 서사의 실험과 탈북 난민의 현실 = 152
3. 서사무가「바리공주」형식의 차용은 필연적인가? = 155
4. 다시 문제는 리얼리즘이다 = 159
5. 맺음말-욕망의 풍경과 자기 객관화 = 163
회색인, 유목민, 오리엔탈리즘 : 최인훈의『회색인』다시 읽기
1. 『회색인』의 재평가를 위하여 = 168
2. 전통적인 소설 형식의 해체 = 171
3. 독고준-근대적 개인주의와 유목민적 주체 = 175
4. 한국문화의 정체성과『회색인』의 문제의식 = 179
5. 『회색인』의 현재성 = 185
6. 이 시대의 최인훈을 위하여 = 187
예술을 위한 예술과 정치적 보수주의 : 이문열의 예술가소설에 대해
1. 예술가소설은 무엇인가? = 190
2. ‘예술을 위한 예술’의 시원(始原)-「들소」 = 192
3. 두 가지 예술관의 갈등과 낭만적 예술가소설-「금시조」 = 198
4. 불립문자(不立文字)의 세계-『시인』 = 203
5. 예술의 자율성과 정치적 보수주의 = 205
도시산업화시대의 문학적 대응 : 최인호론
1. 대중작가라는 편견을 넘어 = 213
2. 산업화시대의 고독-「타인의 방」의 문제의식 = 214
3. 미문의 매력과 사회적 상처의 소설화-「깊고 푸른 밤」 = 218
4. 최인호 초기 중단편소설의 재평가를 위해 = 222
문체, 지성, 풍속 : 김훈, 정찬, 김원우의 소설에 대해
1. 김훈의 문체 = 223
2. 정찬과 지성 = 226
3. 김원우와 풍속 = 230
짧은 만남, 긴 여운 : 허만하, 최윤, 김원일, 정길연, 서정주
1. 청춘의 시-허만하의 신작시 = 238
2. 육체적 감각의 진실-최윤의「느낌」 = 240
3. 영롱한 무지개의 미학-김원일의「손풍금」 = 243
4. 대필작가의 운명-정길연의「몸살」 = 245
5. 논쟁의 균형 감각-서정주 = 247
3부 에세이의 매혹 = 249
망명, 디아스포라, 그리고 서경식
1. 비평 대상의 확장을 위하여, 혹은 에세이를 위한 변명 = 251
2. 미술과 역사의 만남 = 256
3. 소년과 난민(디아스포라)사이에서 = 263
4. 자기 성찰의 풍경과 타자에 대한 상상력 = 274
5. 글을 맺으며-고통스러운 아름다움에 대해 = 283
만남의 글쓰기, 혹은 에세이의 매혹 : 1970년대 김현 글쓰기의 한 풍경
1. 김현을 탐구하기 위한 새로운 지평 = 286
2. 예술기행의 의미와 에세이비평 = 288
1) 성찰과 문화적 다양성 = 289
2) 단장(epigram)형식의 에세이 = 292
3) 고통의 예술과 전복(顚覆)정신-김현의 미술 에세이 = 296
4) 바슐라르와의 만남-현장 취재를 통한 글쓰기 = 300
3. 만남을 통한 공감의 글쓰기-『시인을 찾아서』 = 303
4. 글을 맺으며-김현 비평과 에세이의 매력 = 309
성찰적 유미주의자의 열린 시선 : 고종석의『모국어의 속살』에 대한 몇 가지 단상 = 311
박노자에 관한 몇 가지 단상 :『당신들의 대한민국』에 대하여
1. 새로운 논객의 출현 = 323
2. 투철한 윤리적 감수성 = 326
3. 통시적인 역사적 맥락에 근거한 비판 = 328
4. 타자에 대한 이해와 자기 성찰 = 330
5. 짧은 단상-외부로부터의 비판, 그 의미 = 332
6. 박노자, 그 이후 = 333
4부 문학의 둘레 = 335
문학과 영화 : 영상시대의 문학교육에 대해
1. 영상문화와 문학교육의 혁신 = 337
2. 문학교육이 영화를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 341
3. 영상으로 번역되지 않는 문학의 자리 = 349
1) 원작소설과 영화의 차이점 = 350
2) 영화로 만들어지지 못하는 소설들 = 356
4. 맺음말-문학과 영화가 함께 가기 = 359
문학과 역사, 그 행복한 만남을 위해
1. 다시 역사를 만나기 위해 = 362
2. 현대사 연구의 진전과 소설의 개화 = 364
문학과 여론 : 선택과 배제의 딜레마 =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