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 서문 = 5
편집자 서문 = 13
1 언어의 이중적 본질에 관하여(BPU 자료 1966) = 35
1 서문 = 37
2a 이중적 본질 : 처음이자 끝인 이중성의 원리 = 37
2b 정체성의 위치 = 39
2c 언어학적 대상의 본질 = 40
2d [이원성의 원리] = 41
2e [네 가지 관점] = 42
3a [대상에 접근하기] = 44
3b [언어학과 음성학] = 45
3c [음성의 존재와 상관관계] = 47
3d [음성형상의 생리-음향학적 영역] = 49
3e 생리학적·음향학적 관점에서의 구개자음에 대한 관찰 = 50
3f [가치, 의미, 의미작용‥] = 52
3g [가치와 형태] = 52
4a [음성학과 형태론, 1] = 54
4b [음성학과 형태론, 2] = 54
5a [음성과 의미] = 55
5b [동일성-실체] = 57
5c [동일성-관념의 행진] = 59
6a [언어학자의 조작에 대한 성찰] = 60
6b [형태론-언어상태] = 61
6c [형태] = 62
6d [무차별성과 차별성] = 63
6e [형태-음성적 형상] = 64
7 [음성변화와 의미변화] = 69
8 [기호학] = 73
9 [독자에게 전하는 견해] = 75
10a 본질에 관하여, 등[순간의 전망과 음성학. 상태] = 78
10b 규칙 : 권설음 n = 82
11 [기호의 다양성] = 82
12 [언어의 삶] = 86
13 [문법 : 범주] = 88
14 [문법 : 규칙] = 89
15 [순간의 음성규칙] = 91
16 순간 음성규칙의 특성들 = 95
17 [실제적 발화와 잠재적 발화] = 97
18 [평행관계] = 97
19 [모음교체] = 99
20a [부정성과 차이, 1] = 101
20b [부정성과 차이, 2] = 101
21 [동일화, 상대적 가치와 관점] = 103
22a [음성학과 형태론] = 105
22b [기호학의 근본 원리] = 108
23 [고유 의미와 비유 의미] = 111
24 [기호와 부정성] = 111
25 [동의의 부정성에 대하여] = 113
26 [동의의 문제(계속)] = 115
27 본질에 관하여 = 117
28 색인 = 123
29a [언어의 체계] = 124
29b [차이와 실체] = 125
29c 내적 영역과 외적 영역의 상대적 상황 = 127
29d 종합 부분 = 127
29e 어원적 동일성 = 128
29f [역사 통사론] = 128
29g [유추변화] = 129
29h [언어학의 중심 대상] = 130
29i [형태론적 혁신] = 130
29j [통합 혹은 추후 성찰-사색] = 131
2 항목과 아포리즘 = 135
Ⅰ. 신항목(新項目)(Fonds BPU 1996) = 137
1 [허사] = 139
2 [기원의 문제-시냇물] = 139
3 [근복적인 요소-그 자체로서의 음성-문장-의식-언어학적 단위(기호-음성-의미)] = 140
4 [담화적인 것, 변형의 장소-이 책의 구분] = 142
5 [언어학의 상황-언어적 단위] = 143
6 [기호와 의미-기호학적 실체] = 143
Ⅱ. 구항목(舊項目)(엥글러 편집 1968-1974) = 145
Ⅲ. 아포리즘(엥글러 편집 1968-1974) = 173
3 일반언어학에 관한 또 다른 노트 = 177
Ⅰ. 신자료(新資料)(1996 BPU 문서) = 179
1 [언어활동-언어-발화] = 181
2 [기호] = 184
3 [직감과 귀납] = 185
4 [agricola 유형의 라틴어 합성어에 대해] = 187
5 [faver-Faure(Favre, F<TEX>$\acute e$</TEX>vre, Lef<TEX>$\acute e$</TEX>vre, Lef<TEX>$\acute e$</TEX>bure)] = 188
Ⅱ. 구자료(舊資料)(엥글러 편집 1968-1974) = 191
1 [음운론 1] = 193
2a [쥬네브 대학 1차 강연(1891년 11월)] = 198
2b [쥬네브 대학 2차 강연(1891년 11월)] = 214
2c [쥬네브 대학 3차 강연(1891년 11월)] = 223
3a [언어사에대한 노트 : 비교문법이란 표현에 대한 비판1] = 236
3b [비교문법이란 표현에 대한 비판 2] = 237
4 [문학, 문헌학, 언어학의 구별] = 239
5 [음성사실은 두 시기를 전제한다] = 240
6a [음운론, 2] = 241
6b [음운론, 3] = 241
7 [언어의 특성] = 242
8 형태론 = 245
9 [과학문법 내에서 관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언어분석에 대한 비판] = 268
10a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1(1893-1894)] = 269
10b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2] = 273
10c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3] = 276
11 [휘트니에 대한 논문을 위한 노트] = 277
12a [상태와 운동.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1] = 302
12b [상태와 운동.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2] = 305
13a [언어학에서 용어법의 난점에 대하여 (〈비유는 더 이상 없다〉)] = 317
13b [언어학에서 용어의 난점에 대하여(또는 단순 표현)] = 320
14a [분절에 대하여] = 321
14b [내파+내파] = 322
14c [음절이론(1897?)] = 323
14d [음운론을 위한 노트, 간극, 음적이론(1897?)] = 330
15a [언어학은 어떤 종류의 단위 개체를 가지고 있는가?] = 345
15b [단위 개체에 대한 성찰] = 346
16 [해부학과 생리학] = 347
17 [알베르 세쉬예의 「이론 언어학의 프로그램과 방법」에 대한 노트, 1908] = 348
18 [분류불가능한 다양한 노트] = 352
19 [기호학] = 353
20 [사건, 상태, 유추] = 359
21 [어족] = 361
22 [접두사 또는 전치사] = 363
23 [모음교체] = 364
24 [문체론 강좌 개설에 대한 보고] = 366
Ⅲ. 담화에 대한 노트(Fonds BPU 1996) = 369
Ⅳ. UNDE EXORIAR(Fonds BPU 1996) = 373
4 일반언어학 강의를 위한 예비노트 = 377
Ⅰ. 신자료(新資料)(Fonds BPU 1966) = 379
1 [언어단위의 비물질적 성질] = 381
2 [수단의 무관함] = 382
3 [언어] = 382
4 [기호학] = 382
5 [기호체계-집단] = 383
6 [가치-집단] = 385
7 [지리적 불연속] = 386
8 [상호 교류] = 391
Ⅱ. 구자료(舊資料)(앵글러 편집 1965-1974) = 393
1 [강의 Ⅰ(1907)을 위한 노트] = 395
2a [강의 Ⅱ(1908-1909)을 위한 노트 : 이원성] = 396
2b [강의 Ⅱ(1908-1909)을 위한 노트 : 휘트니] = 398
2c [강의 Ⅱ(1908-1909)을 위한 노트 : 켈트어] = 405
3a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강의의 구분 및 지리언어학] = 407
3b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음향연쇄 분석] = 432
3c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명칭목록] = 434
3d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개체와 분할 단편] = 434
3e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기호의 자의성과 사항의 개념] = 435
3f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기호의 변질의 필요성, 공시태와 통시태] = 437
3g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언어가치] = 445
역자 주 = 447
색인 = 453
옮긴이 서문 = 5
편집자 서문 = 13
1 언어의 이중적 본질에 관하여(BPU 자료 1966) = 35
1 서문 = 37
2a 이중적 본질 : 처음이자 끝인 이중성의 원리 = 37
2b 정체성의 위치 = 39
2c 언어학적 대상의 본질 = 40
2d [이원성의 원리] = 41
2e [네 가지 관점] = 42
3a [대상에 접근하기] = 44
3b [언어학과 음성학] = 45
3c [음성의 존재와 상관관계] = 47
3d [음성형상의 생리-음향학적 영역] = 49
3e 생리학적·음향학적 관점에서의 구개자음에 대한 관찰 = 50
3f [가치, 의미, 의미작용‥] = 52
3g [가치와 형태] = 52
4a [음성학과 형태론, 1] = 54
4b [음성학과 형태론, 2] = 54
5a [음성과 의미] = 55
5b [동일성-실체] = 57
5c [동일성-관념의 행진] = 59
6a [언어학자의 조작에 대한 성찰] = 60
6b [형태론-언어상태] = 61
6c [형태] = 62
6d [무차별성과 차별성] = 63
6e [형태-음성적 형상] = 64
7 [음성변화와 의미변화] = 69
8 [기호학] = 73
9 [독자에게 전하는 견해] = 75
10a 본질에 관하여, 등[순간의 전망과 음성학. 상태] = 78
10b 규칙 : 권설음 n = 82
11 [기호의 다양성] = 82
12 [언어의 삶] = 86
13 [문법 : 범주] = 88
14 [문법 : 규칙] = 89
15 [순간의 음성규칙] = 91
16 순간 음성규칙의 특성들 = 95
17 [실제적 발화와 잠재적 발화] = 97
18 [평행관계] = 97
19 [모음교체] = 99
20a [부정성과 차이, 1] = 101
20b [부정성과 차이, 2] = 101
21 [동일화, 상대적 가치와 관점] = 103
22a [음성학과 형태론] = 105
22b [기호학의 근본 원리] = 108
23 [고유 의미와 비유 의미] = 111
24 [기호와 부정성] = 111
25 [동의의 부정성에 대하여] = 113
26 [동의의 문제(계속)] = 115
27 본질에 관하여 = 117
28 색인 = 123
29a [언어의 체계] = 124
29b [차이와 실체] = 125
29c 내적 영역과 외적 영역의 상대적 상황 = 127
29d 종합 부분 = 127
29e 어원적 동일성 = 128
29f [역사 통사론] = 128
29g [유추변화] = 129
29h [언어학의 중심 대상] = 130
29i [형태론적 혁신] = 130
29j [통합 혹은 추후 성찰-사색] = 131
2 항목과 아포리즘 = 135
Ⅰ. 신항목(新項目)(Fonds BPU 1996) = 137
1 [허사] = 139
2 [기원의 문제-시냇물] = 139
3 [근복적인 요소-그 자체로서의 음성-문장-의식-언어학적 단위(기호-음성-의미)] = 140
4 [담화적인 것, 변형의 장소-이 책의 구분] = 142
5 [언어학의 상황-언어적 단위] = 143
6 [기호와 의미-기호학적 실체] = 143
Ⅱ. 구항목(舊項目)(엥글러 편집 1968-1974) = 145
Ⅲ. 아포리즘(엥글러 편집 1968-1974) = 173
3 일반언어학에 관한 또 다른 노트 = 177
Ⅰ. 신자료(新資料)(1996 BPU 문서) = 179
1 [언어활동-언어-발화] = 181
2 [기호] = 184
3 [직감과 귀납] = 185
4 [agricola 유형의 라틴어 합성어에 대해] = 187
5 [faver-Faure(Favre, F<TEX>$\acute e$</TEX>vre, Lef<TEX>$\acute e$</TEX>vre, Lef<TEX>$\acute e$</TEX>bure)] = 188
Ⅱ. 구자료(舊資料)(엥글러 편집 1968-1974) = 191
1 [음운론 1] = 193
2a [쥬네브 대학 1차 강연(1891년 11월)] = 198
2b [쥬네브 대학 2차 강연(1891년 11월)] = 214
2c [쥬네브 대학 3차 강연(1891년 11월)] = 223
3a [언어사에대한 노트 : 비교문법이란 표현에 대한 비판1] = 236
3b [비교문법이란 표현에 대한 비판 2] = 237
4 [문학, 문헌학, 언어학의 구별] = 239
5 [음성사실은 두 시기를 전제한다] = 240
6a [음운론, 2] = 241
6b [음운론, 3] = 241
7 [언어의 특성] = 242
8 형태론 = 245
9 [과학문법 내에서 관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언어분석에 대한 비판] = 268
10a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1(1893-1894)] = 269
10b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2] = 273
10c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3] = 276
11 [휘트니에 대한 논문을 위한 노트] = 277
12a [상태와 운동.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1] = 302
12b [상태와 운동.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2] = 305
13a [언어학에서 용어법의 난점에 대하여 (〈비유는 더 이상 없다〉)] = 317
13b [언어학에서 용어의 난점에 대하여(또는 단순 표현)] = 320
14a [분절에 대하여] = 321
14b [내파+내파] = 322
14c [음절이론(1897?)] = 323
14d [음운론을 위한 노트, 간극, 음적이론(1897?)] = 330
15a [언어학은 어떤 종류의 단위 개체를 가지고 있는가?] = 345
15b [단위 개체에 대한 성찰] = 346
16 [해부학과 생리학] = 347
17 [알베르 세쉬예의 「이론 언어학의 프로그램과 방법」에 대한 노트, 1908] = 348
18 [분류불가능한 다양한 노트] = 352
19 [기호학] = 353
20 [사건, 상태, 유추] = 359
21 [어족] = 361
22 [접두사 또는 전치사] = 363
23 [모음교체] = 364
24 [문체론 강좌 개설에 대한 보고] = 366
Ⅲ. 담화에 대한 노트(Fonds BPU 1996) = 369
Ⅳ. UNDE EXORIAR(Fonds BPU 1996) = 373
4 일반언어학 강의를 위한 예비노트 = 377
Ⅰ. 신자료(新資料)(Fonds BPU 1966) = 379
1 [언어단위의 비물질적 성질] = 381
2 [수단의 무관함] = 382
3 [언어] = 382
4 [기호학] = 382
5 [기호체계-집단] = 383
6 [가치-집단] = 385
7 [지리적 불연속] = 386
8 [상호 교류] = 391
Ⅱ. 구자료(舊資料)(앵글러 편집 1965-1974) = 393
1 [강의 Ⅰ(1907)을 위한 노트] = 395
2a [강의 Ⅱ(1908-1909)을 위한 노트 : 이원성] = 396
2b [강의 Ⅱ(1908-1909)을 위한 노트 : 휘트니] = 398
2c [강의 Ⅱ(1908-1909)을 위한 노트 : 켈트어] = 405
3a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강의의 구분 및 지리언어학] = 407
3b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음향연쇄 분석] = 432
3c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명칭목록] = 434
3d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개체와 분할 단편] = 434
3e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기호의 자의성과 사항의 개념] = 435
3f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기호의 변질의 필요성, 공시태와 통시태] = 437
3g [강의 Ⅲ(1910-1911)을 위한 노트 : 언어가치] = 445
역자 주 = 447
색인 = 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