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 3
서론 표류하는 한·미 동맹과 주한미군 = 9
1. 동맹피로(同盟疲勞) 증상을 보이는 한·미 관계 = 9
2. 한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반미감정 = 10
3. 미국에서도 부상하고 있는 주한미군 철수론 = 16
4. 쿠오바디스(Quo vadis), 한·미 동맹? = 22
1부 주한미군의 등장과 변화
1장 한·미 동맹의 삼위일체구조의 형성과정 = 35
1. 주한미군 전사(前史) = 35
2. 미군정과 한국군의 창설 = 41
3. 대한민국 수립 = 45
4. 주한미군의 1차 철수와 이승만의 북진정책의 성립 = 47
5. 한국전 발발과 미군 재진주, 그리고 한국군의 작전지휘권 이양 = 53
6. 한·미 군사협력관계의 증진 : 미국의 군사원조와 한국군 증강 = 56
7. 북진과 유엔 주도의 북한점령 = 58
8. 한·미 동맹의 삼위일체구조의 형성 : 정전협정, 상호방위조약 그리고 합의의사록 = 61
2장 인계철선으로서의 주한미군 : 규모, 편제, 운용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 75
1. 주한미군의 2차 철수와 한국군의 증강 = 76
2. 군사정권의 등장과 한·미 군사관계의 변화 = 80
3. 주한미군 철수와 한·미 군사관계의 재조정 = 85
4. 한·미간의 동반자 관계의 발전 = 97
3장 주한미군과 핵전력의 변화 = 106
1. 한반도 핵의 역사 = 106
2. 주한미군의 핵무장과 핵 운용정책 = 107
3. 남한의 핵개발 기도와 좌절 = 115
4. 북한의 핵정책 : 비핵화 요구에서 핵개발로 = 116
5.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의 핵모험 = 118
2부 주한미군의 현황과 쟁점
4장 냉전 이후 미국의 신군사전략과 주한미군 = 123
1. 탈냉전과 해외주둔 미군의 조정 = 123
2. 미국의 군사전략과 해외주둔정책 = 125
3. 냉전 이후 미국의 군사전략 재검토 = 129
4.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군사전략 전환과 동아시아정책 = 139
5. 미 동아시아 전략변화의 주한미군 파급영향 = 151
5장 주한미군의 안보적 역할과 연합방위태세 = 159
1. 한·미 동맹의 성립과 미군 주둔 = 159
2. 미 태평양사령부와 주한미군사령부의 관계 = 160
3. 주한미군의 조직 및 전력현황과 안보적 역할 = 167
4. 한미 안보협력의 구조와 연합방위태세 = 175
5. 한·미 안보협력의 과제 = 189
6장 한·미 동맹에 대한 도전요인과 주한미군 관련쟁점 = 193
1. 한·미 동맹에 대한 국내의 도전요인 = 193
2.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문제 = 195
3.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 재개정문제 = 203
4. 주둔비용 분담 증가와 동맹의 경제성문제 = 213
5. 미군기지의 통폐합 및 이전문제 = 223
6. 바람직한 한·미 동맹관계를 위하여 = 230
3부 평화체제 구축과 통일단계에서의 주한미군
7장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이후 주한미군의 지위조정 = 235
1. 신정부의 국정과제 :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 235
2. 한반도 평화체제와 주한미군 지위변경의 관계 = 237
3. 평화체제 구축 이후 평화관리 및 안전보장문제 = 243
4.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이후 주한미군의 지위와 역할 = 255
5. 주한미군의 새 모습 : 평화유지군의 옷을 입은 동맹군 = 266
8장 한반도 통일시나리오와 미국·주한미군의 역할 = 270
1. 한반도 통일과 미국 변수 = 270
2. 한반도 통일의 유형과 미국의 개입형태 = 272
3. 한반도 통일의 네 가지 시나리오 = 285
4. 통일완성단계에서 미국·주한미군의 역할 = 295
5. 한반도 위기설과 통일시나리오 = 305
결론 21세기 한·미 동맹과 주한미군의 장래 = 309
1. 왜 한·미 동맹은 재정의되어야 하는가? = 309
2. 냉전형 동맹에서 21세기형 동맹으로의 전환 = 311
3. 21세기 한반도 전략환경과 한·미 동맹 = 321
4. 21세기 한·미 동맹의 세 가지 시나리오와 주한미군 = 327
5. 21세기 바람직한 한·미 동맹의 방향 = 338
참고문헌 = 342
찾아보기 = 356
저자 서문 = 3
서론 표류하는 한·미 동맹과 주한미군 = 9
1. 동맹피로(同盟疲勞) 증상을 보이는 한·미 관계 = 9
2. 한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반미감정 = 10
3. 미국에서도 부상하고 있는 주한미군 철수론 = 16
4. 쿠오바디스(Quo vadis), 한·미 동맹? = 22
1부 주한미군의 등장과 변화
1장 한·미 동맹의 삼위일체구조의 형성과정 = 35
1. 주한미군 전사(前史) = 35
2. 미군정과 한국군의 창설 = 41
3. 대한민국 수립 = 45
4. 주한미군의 1차 철수와 이승만의 북진정책의 성립 = 47
5. 한국전 발발과 미군 재진주, 그리고 한국군의 작전지휘권 이양 = 53
6. 한·미 군사협력관계의 증진 : 미국의 군사원조와 한국군 증강 = 56
7. 북진과 유엔 주도의 북한점령 = 58
8. 한·미 동맹의 삼위일체구조의 형성 : 정전협정, 상호방위조약 그리고 합의의사록 = 61
2장 인계철선으로서의 주한미군 : 규모, 편제, 운용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 75
1. 주한미군의 2차 철수와 한국군의 증강 = 76
2. 군사정권의 등장과 한·미 군사관계의 변화 = 80
3. 주한미군 철수와 한·미 군사관계의 재조정 = 85
4. 한·미간의 동반자 관계의 발전 = 97
3장 주한미군과 핵전력의 변화 = 106
1. 한반도 핵의 역사 = 106
2. 주한미군의 핵무장과 핵 운용정책 = 107
3. 남한의 핵개발 기도와 좌절 = 115
4. 북한의 핵정책 : 비핵화 요구에서 핵개발로 = 116
5.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의 핵모험 = 118
2부 주한미군의 현황과 쟁점
4장 냉전 이후 미국의 신군사전략과 주한미군 = 123
1. 탈냉전과 해외주둔 미군의 조정 = 123
2. 미국의 군사전략과 해외주둔정책 = 125
3. 냉전 이후 미국의 군사전략 재검토 = 129
4.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군사전략 전환과 동아시아정책 = 139
5. 미 동아시아 전략변화의 주한미군 파급영향 = 151
5장 주한미군의 안보적 역할과 연합방위태세 = 159
1. 한·미 동맹의 성립과 미군 주둔 = 159
2. 미 태평양사령부와 주한미군사령부의 관계 = 160
3. 주한미군의 조직 및 전력현황과 안보적 역할 = 167
4. 한미 안보협력의 구조와 연합방위태세 = 175
5. 한·미 안보협력의 과제 = 189
6장 한·미 동맹에 대한 도전요인과 주한미군 관련쟁점 = 193
1. 한·미 동맹에 대한 국내의 도전요인 = 193
2.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문제 = 195
3.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 재개정문제 = 203
4. 주둔비용 분담 증가와 동맹의 경제성문제 = 213
5. 미군기지의 통폐합 및 이전문제 = 223
6. 바람직한 한·미 동맹관계를 위하여 = 230
3부 평화체제 구축과 통일단계에서의 주한미군
7장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이후 주한미군의 지위조정 = 235
1. 신정부의 국정과제 :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 235
2. 한반도 평화체제와 주한미군 지위변경의 관계 = 237
3. 평화체제 구축 이후 평화관리 및 안전보장문제 = 243
4.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이후 주한미군의 지위와 역할 = 255
5. 주한미군의 새 모습 : 평화유지군의 옷을 입은 동맹군 = 266
8장 한반도 통일시나리오와 미국·주한미군의 역할 = 270
1. 한반도 통일과 미국 변수 = 270
2. 한반도 통일의 유형과 미국의 개입형태 = 272
3. 한반도 통일의 네 가지 시나리오 = 285
4. 통일완성단계에서 미국·주한미군의 역할 = 295
5. 한반도 위기설과 통일시나리오 = 305
결론 21세기 한·미 동맹과 주한미군의 장래 = 309
1. 왜 한·미 동맹은 재정의되어야 하는가? = 309
2. 냉전형 동맹에서 21세기형 동맹으로의 전환 = 311
3. 21세기 한반도 전략환경과 한·미 동맹 = 321
4. 21세기 한·미 동맹의 세 가지 시나리오와 주한미군 = 327
5. 21세기 바람직한 한·미 동맹의 방향 = 338
참고문헌 = 342
찾아보기 = 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