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ⅴ
들어가며 = 1
1. 식민지 시기 근대화를 둘러싼 논쟁 = 1
2. 무엇이 문제인가? = 3
3. 어디에서 시작할 것인가?: 사람의 생각, 사회적 공감대 = 7
4. 또 다른 문제의식 = 11
5. 분석의 대상과 자료 = 14
제1장 서로 다른 길, 그러나 공통된 목표
1. 사회적 담론이 된 경제개발계획 = 27
1) 해방과 공 개념 = 28
중요 산업 국유화, 토지분배
그렇게 살아왔으니까
2) 1950년대 미국 원조의 이중적 효과 = 35
경제의 피폐와 원조 경제
미국의 원조 감축의 이중적 의미: 계획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자
3) 1950년대 저개발국 경제개발론 도입 = 43
다른 저개발국의 경험과 이론을 배우자
새로운 경험: 유학, 연수, 출장
2. 서로 다른 길 = 49
1) 민간기업이 주도해야 한다 = 50
「사상계」
민주당 신파와 이광수
2) 국가가 적극적으로 주도해야 한다 = 55
우리의 길은 서구의 길과 다르다
사회주의의 영향, 그리고 군사정부의 고문으로
3) 자본주의의 수정이 필요하다 = 61
다수를 위한 계획적 민주주의
혁신운동을 통한 공론화
3. 공통의 목표 = 66
1) 전통과 식민지의 유산 = 67
정부가 주도하는 계획이 필요하다
식민지 교육의 유산
2) 서구의 이론을 선택적으로 배우자 = 74
안정보다는 성장, 그리고 농업문제
균형성장이 필요하다
3)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자 = 81
위장된 실업
민족자본을 축적하자
제2장 현상유지정책에서 근대화론으로: 미국 대외정책의 전환
1. 현상 유지: 1950년대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 = 109
1) 경제협조처의 대한원조 = 110
가장 효율적인 봉쇄는 자본주의에 대한 자신감
전쟁으로 중단된 부흥계획
2) 새로운 패션: 그러나 새롭지 않은 = 117
미국의 세계정책을 바꾸어 놓은 한국전쟁
정부 재정지출을 줄이기 위해 민간기업의 역할 강조
3) 아시아극동경제위원회의 활동과 미국의 소극적 정책 = 122
자중지란
ECAFE보다는 일본을 아시아의 중심으로
2. 저개발국 근대화를 통한 봉쇄정책 = 130
1) 로스토우의 등장 = 131
저개발국을 제대로 알기 위한 움직임: 지역학
대외안보 전문가 로스토우
베트남 전쟁 개입을 지지하였지만
2) 로스토우의 근대화론 = 141
공산주의의 미래는 아시아에 있다
군사원조에서 경제원조로
저개발지역의 민족주의를 이용하자
미국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세계 자본주의 체제의 번영을 위하여
3. 1960년대 초 미국의 저개발국 정책 변화 = 159
1) 로스토우 이론의 확산 = 160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부분적 수용
케네디 캠프에의 합류
2) 로스토우에 근거한 새로운 대외정책 = 164
올드룩이 된 뉴룩
저개발국의 군인을 키우자
케인즈 혁명
3) 대일정책의 변화 = 174
배상금이 중심이 된 1950년대 일본의 조심스러운 영향력 확대
아시아개발은행을 통한 일본의 영향력 확대
제3장 안정에서 성장으로: 1960년대 초 미국의 대한정책 변화
1. 현상 유지, 그러나 위기 = 221
1) 인플레이션을 잡아라 = 222
계속되는 인플레이션
변화, 그러나 뉴룩 하에서의 조정
2) 외국의 민간자본 투자 권장정책과 한국군 감축정책 = 229
공적 자본보다는 사적 자본을 이용하는 방안
한국군을 감축하자
2. 한국사회가 변하고 있다 = 237
1) 경제적 변화, 그리고 전문관료의 등장 = 238
격동의 시대
전재복구는 끝났다
경제정책을 이끌 전문 관료들의 부상
2) 정치적 불안과 민족주의의 발흥 = 247
장면, 부통령에 당선되다
한국에서도 민족주의가
북한의 성공적 전재 복구, 그리고 중국군의 철수
3. 변화된 미국의 대한정책 = 254
1) 성장과 개혁정책 = 255
원조의 비효율성에 대한 팔리의 비판
한국 문제에 관한 대통령 직속 긴급임무팀의 조직
정신도 개조
일본과의 관계를 정상화
2) 군사정권에 대한 선택적 지원정책과 성장우선정책 = 263
농촌 출신의 젊은 장교들
박정희를 불순분자로부터 분리해서 지원
안정이 아니라 성장
제4장 경제개발계획과 그 수정
1. 1950년대의 경제개발계획 = 297
1) 이승만 정부의 산업개발 3개년계획 = 298
짜짓기 계획
민간기업 주도, 그러나 균형성장
경제계획은 사회주의에서나 하는 것
2) 민주당 정부의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306
「사상계」와 민주당 신파의 부상
국토건설단의 실패, 그리고 민주당 정부의 몰락
2. 군사정부의 경제개발계획과 경제정책의 실패 = 314
1)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315
일사천리로 밀어붙이기
군사정부의 계획이 수출주도형이라는 것은 잘못된 신화
2) 경제정책의 실패 = 324
통화개혁의 실패
쌀 위기
3. 군사정부의 경제개발계획 수정 = 329
1) 경제개발계획에 대한 미국의 개입 = 330
겉으로는 사전 협의, 실제로는 민족주의적 성향에 대한 반대
불순분자들을 대체하라
2) 새로 변경된 계획 = 336
수출주도형, 외자 이용도 미국의 작품
미국의 압력이 그대로 반영된 것은 아니었다
나오며 = 365
1. 한국사회의 복합성 = 365
한국사회를 규정한 다양한 요소들
공부해야 먹고 산다
2.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가? = 369
잡종
잡종을 통한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지역화
3. 무엇이 새로운가? = 375
생각의 힘은 결코 작지 않았다
신화를 벗기 위하여
참고문헌 = 383
찾아보기 = 407
Abstract = 419
서문 = ⅴ
들어가며 = 1
1. 식민지 시기 근대화를 둘러싼 논쟁 = 1
2. 무엇이 문제인가? = 3
3. 어디에서 시작할 것인가?: 사람의 생각, 사회적 공감대 = 7
4. 또 다른 문제의식 = 11
5. 분석의 대상과 자료 = 14
제1장 서로 다른 길, 그러나 공통된 목표
1. 사회적 담론이 된 경제개발계획 = 27
1) 해방과 공 개념 = 28
중요 산업 국유화, 토지분배
그렇게 살아왔으니까
2) 1950년대 미국 원조의 이중적 효과 = 35
경제의 피폐와 원조 경제
미국의 원조 감축의 이중적 의미: 계획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자
3) 1950년대 저개발국 경제개발론 도입 = 43
다른 저개발국의 경험과 이론을 배우자
새로운 경험: 유학, 연수, 출장
2. 서로 다른 길 = 49
1) 민간기업이 주도해야 한다 = 50
「사상계」
민주당 신파와 이광수
2) 국가가 적극적으로 주도해야 한다 = 55
우리의 길은 서구의 길과 다르다
사회주의의 영향, 그리고 군사정부의 고문으로
3) 자본주의의 수정이 필요하다 = 61
다수를 위한 계획적 민주주의
혁신운동을 통한 공론화
3. 공통의 목표 = 66
1) 전통과 식민지의 유산 = 67
정부가 주도하는 계획이 필요하다
식민지 교육의 유산
2) 서구의 이론을 선택적으로 배우자 = 74
안정보다는 성장, 그리고 농업문제
균형성장이 필요하다
3)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자 = 81
위장된 실업
민족자본을 축적하자
제2장 현상유지정책에서 근대화론으로: 미국 대외정책의 전환
1. 현상 유지: 1950년대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 = 109
1) 경제협조처의 대한원조 = 110
가장 효율적인 봉쇄는 자본주의에 대한 자신감
전쟁으로 중단된 부흥계획
2) 새로운 패션: 그러나 새롭지 않은 = 117
미국의 세계정책을 바꾸어 놓은 한국전쟁
정부 재정지출을 줄이기 위해 민간기업의 역할 강조
3) 아시아극동경제위원회의 활동과 미국의 소극적 정책 = 122
자중지란
ECAFE보다는 일본을 아시아의 중심으로
2. 저개발국 근대화를 통한 봉쇄정책 = 130
1) 로스토우의 등장 = 131
저개발국을 제대로 알기 위한 움직임: 지역학
대외안보 전문가 로스토우
베트남 전쟁 개입을 지지하였지만
2) 로스토우의 근대화론 = 141
공산주의의 미래는 아시아에 있다
군사원조에서 경제원조로
저개발지역의 민족주의를 이용하자
미국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세계 자본주의 체제의 번영을 위하여
3. 1960년대 초 미국의 저개발국 정책 변화 = 159
1) 로스토우 이론의 확산 = 160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부분적 수용
케네디 캠프에의 합류
2) 로스토우에 근거한 새로운 대외정책 = 164
올드룩이 된 뉴룩
저개발국의 군인을 키우자
케인즈 혁명
3) 대일정책의 변화 = 174
배상금이 중심이 된 1950년대 일본의 조심스러운 영향력 확대
아시아개발은행을 통한 일본의 영향력 확대
제3장 안정에서 성장으로: 1960년대 초 미국의 대한정책 변화
1. 현상 유지, 그러나 위기 = 221
1) 인플레이션을 잡아라 = 222
계속되는 인플레이션
변화, 그러나 뉴룩 하에서의 조정
2) 외국의 민간자본 투자 권장정책과 한국군 감축정책 = 229
공적 자본보다는 사적 자본을 이용하는 방안
한국군을 감축하자
2. 한국사회가 변하고 있다 = 237
1) 경제적 변화, 그리고 전문관료의 등장 = 238
격동의 시대
전재복구는 끝났다
경제정책을 이끌 전문 관료들의 부상
2) 정치적 불안과 민족주의의 발흥 = 247
장면, 부통령에 당선되다
한국에서도 민족주의가
북한의 성공적 전재 복구, 그리고 중국군의 철수
3. 변화된 미국의 대한정책 = 254
1) 성장과 개혁정책 = 255
원조의 비효율성에 대한 팔리의 비판
한국 문제에 관한 대통령 직속 긴급임무팀의 조직
정신도 개조
일본과의 관계를 정상화
2) 군사정권에 대한 선택적 지원정책과 성장우선정책 = 263
농촌 출신의 젊은 장교들
박정희를 불순분자로부터 분리해서 지원
안정이 아니라 성장
제4장 경제개발계획과 그 수정
1. 1950년대의 경제개발계획 = 297
1) 이승만 정부의 산업개발 3개년계획 = 298
짜짓기 계획
민간기업 주도, 그러나 균형성장
경제계획은 사회주의에서나 하는 것
2) 민주당 정부의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306
「사상계」와 민주당 신파의 부상
국토건설단의 실패, 그리고 민주당 정부의 몰락
2. 군사정부의 경제개발계획과 경제정책의 실패 = 314
1)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315
일사천리로 밀어붙이기
군사정부의 계획이 수출주도형이라는 것은 잘못된 신화
2) 경제정책의 실패 = 324
통화개혁의 실패
쌀 위기
3. 군사정부의 경제개발계획 수정 = 329
1) 경제개발계획에 대한 미국의 개입 = 330
겉으로는 사전 협의, 실제로는 민족주의적 성향에 대한 반대
불순분자들을 대체하라
2) 새로 변경된 계획 = 336
수출주도형, 외자 이용도 미국의 작품
미국의 압력이 그대로 반영된 것은 아니었다
나오며 = 365
1. 한국사회의 복합성 = 365
한국사회를 규정한 다양한 요소들
공부해야 먹고 산다
2.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가? = 369
잡종
잡종을 통한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지역화
3. 무엇이 새로운가? = 375
생각의 힘은 결코 작지 않았다
신화를 벗기 위하여
참고문헌 = 383
찾아보기 = 407
Abstract =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