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
1부 고대와 중세 세계 = 22
1장 고대 음악 = 24
2장 첫 밀레니엄의 기독교회 = 45
3장 고대 전례와 성가 = 72
4장 중세의 음악과 춤 = 95
5장 13세기 다성음악 = 113
6장 14세기 프랑스 음악과 이탈리아 음악 = 144
2부 르네상스 = 174
7장 르네상스 시대 = 176
8장 15세기 영국과 부르고뉴 = 195
9장 프랑스 플랑드르 작곡가들, 1450~1520 = 217
10장 종교개혁 시대의 종교음악 = 237
11장 16세기 마드리갈과 세속음악 = 268
12장 기악음악의 등장 = 292
3부 17세기 = 314
13장 17세기의 새로운 양식 = 316
14장 오페라의 탄생 = 336
15장 17세기 초의 실내음악과 교회음악 = 359
16장 17세기 프랑스, 영국, 스페인, 신대륙 = 385
17장 17세기 후반 이탈리아와 독일 = 416
4부 18세기 = 448
18장 18세기 초 이탈리아와 프랑스 = 450
19장 후기 바로크의 독일 작곡가들 = 473
20장 고전 시기 초의 오페라와 성악음악 = 510
21장 기악음악: 18세기 중반기 소나타, 교향곡, 협주곡 = 545
22장 18세기 말 고전음악 = 564
더 읽을 문헌들 = 607
찾아보기 = 637
(하)
5부 19세기 = 22
23장 혁명과 변화 = 24
24장 낭만 세대: 노래와 피아노 음악 = 48
25장 고전 형식 속의 낭만주의: 관현악 음악, 실내 음악, 합창음악 = 83
26장 19세기 중반까지의 낭만주의 오페라와 음악극 = 109
27장 19세기 후반 오페라와 음악극 = 129
28장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후기 낭만주의 = 163
29장 19세기 말의 다양한 전통들 = 185
6부 20세기 및 그 이후 = 204
30장 20세기 초 = 206
31장 모더니즘과 클래식 전통 = 249
32장 두 세계대전 사이: 재즈와 팝음악 = 292
33장 두 세계대전 사이: 클래식 전통 = 314
34장 세계대전 후의 경향들 = 343
35장 밀레니엄의 끝 = 394
더 읽을 문헌들 = 421
찾아보기 = 456
1부 고대와 중세 세계 = 22
1장 고대 음악 = 24
2장 첫 밀레니엄의 기독교회 = 45
3장 고대 전례와 성가 = 72
4장 중세의 음악과 춤 = 95
5장 13세기 다성음악 = 113
6장 14세기 프랑스 음악과 이탈리아 음악 = 144
2부 르네상스 = 174
7장 르네상스 시대 = 176
8장 15세기 영국과 부르고뉴 = 195
9장 프랑스 플랑드르 작곡가들, 1450~1520 = 217
10장 종교개혁 시대의 종교음악 = 237
11장 16세기 마드리갈과 세속음악 = 268
12장 기악음악의 등장 = 292
3부 17세기 = 314
13장 17세기의 새로운 양식 = 316
14장 오페라의 탄생 = 336
15장 17세기 초의 실내음악과 교회음악 = 359
16장 17세기 프랑스, 영국, 스페인, 신대륙 = 385
17장 17세기 후반 이탈리아와 독일 = 416
4부 18세기 = 448
18장 18세기 초 이탈리아와 프랑스 = 450
19장 후기 바로크의 독일 작곡가들 = 473
20장 고전 시기 초의 오페라와 성악음악 = 510
21장 기악음악: 18세기 중반기 소나타, 교향곡, 협주곡 = 545
22장 18세기 말 고전음악 = 564
더 읽을 문헌들 = 607
찾아보기 = 637
(하)
5부 19세기 = 22
23장 혁명과 변화 = 24
24장 낭만 세대: 노래와 피아노 음악 = 48
25장 고전 형식 속의 낭만주의: 관현악 음악, 실내 음악, 합창음악 = 83
26장 19세기 중반까지의 낭만주의 오페라와 음악극 = 109
27장 19세기 후반 오페라와 음악극 = 129
28장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후기 낭만주의 = 163
29장 19세기 말의 다양한 전통들 = 185
6부 20세기 및 그 이후 = 204
30장 20세기 초 = 206
31장 모더니즘과 클래식 전통 = 249
32장 두 세계대전 사이: 재즈와 팝음악 = 292
33장 두 세계대전 사이: 클래식 전통 = 314
34장 세계대전 후의 경향들 = 343
35장 밀레니엄의 끝 = 394
더 읽을 문헌들 = 421
찾아보기 = 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