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조직개발에 대한 개괄적 이해 = 15
조직개발의 정의 = 15
조직개발의 성장과 그 유용성 = 19
조직개발의 역사 = 21
실험실 훈련 배경 = 22
액션리서치와 서베이 피드백 = 23
규범적 배경 = 24
생산성과 근로생활의 질 = 27
전략적 변화 = 28
조직개발의 전개 = 29
이 책의 구성 및 개요 = 31
요약 = 33
참고문헌 = 34
1부 조직개발 개관
2장 계획적 변화의 본질 = 41
계획적 변화 이론 = 41
Lewin의 변화 모델 = 42
액션리서치 모형 = 44
긍정적 모형 = 47
변화모형의 비교 = 49
계획적 변화의 일반 모델 = 50
진입과 계약 = 50
진단 = 51
변화의 계획과 수행 = 51
변화의 평가와 제도화 = 52
계획적 변화의 다양한 형태 = 52
변화의 강도 = 52
조직화의 정도 = 54
국내 환경 대 해외 환경 = 55
계획적 변화에 대한 비판 = 56
계획적 변화의 개념화 = 56
계획적 변화의 실천 = 57
요약 = 59
참고문헌 = 59
3장 조직개발 실행자 = 62
조직개발 실행자는 누구인가 = 63
효과적 조직개발 담당자의 기술과 지식 = 64
전문적 조직개발 실행자 = 69
조직개발 전문가의 역할 = 69
조직개발 전문가의 경력 = 75
직업적 가치관 = 76
직업적 윤리 = 77
윤리적 지침 = 78
윤리적 딜레마 = 78
요약 = 82
참고문헌 = 83
2부 조직개발 과정
4장 진입과 계약 = 89
조직개발 관계에의 진입 = 90
조직 문제 명확히 하기 = 91
관련 고객을 결정하기 = 92
조직개발 실행자 선정하기 = 93
계약하기 = 95
상호간의 기대 = 97
시간과 자원 = 98
기본 규칙 = 98
진입과 계약에서의 인간관계의 문제 = 99
요약 = 103
참고문헌 = 103
5장 조직 진단 = 105
진단이란 무엇인가 = 106
진단 모델의 필요성 = 107
개방 체계 모델 = 109
개방 체계로서의 조직 = 109
투입, 변환, 그리고 산출 = 109
경계 = 110
피드백 = 111
이인동과성 = 112
정렬 = 112
조직 체계에 대한 진단 = 113
조직 수준 진단 = 114
투입 = 115
설계 요소들 = 116
산출 = 119
정렬 = 120
분석 = 120
요약 = 127
참고문헌 = 128
6장 집단과 직무 진단 = 130
집단 수준 진단 = 130
투입 = 131
설계 요소 = 131
산출 = 133
적합성 = 134
분석 = 135
개인 수준 진단 = 138
투입 = 138
설계 요소 = 140
적합성 = 141
분석 = 141
요약 = 147
참고문헌 = 147
7장 진단 정보의 수집과 분석 = 149
진단을 위한 관계형성 = 149
자료수집 방법 = 152
설문조사 = 153
인터뷰 = 156
관찰 = 158
비개입적 측정 = 159
표본추출 = 160
자료 분석 기법 = 162
질적 도구 = 162
양적 도구 = 166
요약 = 170
참고문헌 = 170
8장 진단 정보의 피드백 = 172
피드백 내용 결정 = 172
피드백 과정의 특징 = 174
서베이 피드백 = 176
서베이 피드백 단계 = 179
서베이 피드백과 조직 의존성 = 180
서베이 피드백의 한계 = 182
서베이 피드백의 결과 = 183
요약 = 185
참고문헌 = 185
9장 개입의 설계 = 187
효과적인 개입이란 무엇인가 = 187
효과적인 개입을 설계하는 방법 = 188
변화상황과 관련된 상황요인 = 189
변화 대상과 관련된 상황요인 = 190
개입에 대한 개관 = 193
인간 과정 개입 = 193
기술구조적 개입 = 195
인적 자원 관리 개입 = 197
전략적 개입 = 198
요약 = 199
참고문헌 = 200
10장 변화관리 = 201
변화 활동 대한 개관 = 201
변화에 대한 동기부여 = 203
변화에 대한 준비 = 204
변화에 대한 저항 극복 = 205
비전 창출 = 207
핵심이념의 서술 = 209
미래 비전 구성 = 210
정치적 지지 구축 = 211
변화담당자의 권력 평가 = 214
주요 이해관계자의 파악 = 215
이해관계자에게 영향력 행사 = 216
이행관리 = 217
활동계획 = 217
몰입계획 = 219
변화관리 구조 = 219
변화 동력 지속 = 219
변화를 위한 자원의 공급 = 222
변화담당자를 위한 지지 시스템 구축 = 222
새로운 역량과 기술의 개발 = 222
새로운 행위의 강화 = 223
변화과정의 유지 = 223
요약 = 224
참고문헌 = 227
11장 조직개발개입의 평가 및 제도화 = 229
조직개발개입의 평가 = 229
실행과 평가피드백 = 230
측정 = 233
연구설계 = 239
개입의 제도화 = 245
제도화 관점 = 246
요약 = 252
참고문헌 = 254
3부 인간 과정 개입
12장 개인, 개인 간, 집단 과정 접근법 = 261
코칭 = 262
코칭의 목표 = 262
적용단계 = 263
코칭의 결과 = 264
훈련과 개발 = 254
훈련과 개발의 목표 = 265
적용단계 = 265
훈련의 결과 = 266
프로세스 자문 = 268
집단 프로세스 = 269
기본적 프로세스 개입 = 271
프로세스 자문의 결과 = 273
제3자 개입 = 275
갈등에 대한 에피소드 모형 = 276
갈등해결 프로세스의 촉진 = 278
팀 빌딩 = 279
팀 빌딩 활동 = 281
한 명 이상의 개인과 관련된 활동 = 283
집단 운영과 행동지향적인 활동 = 284
조직 내 다른 부분과의 집단 관계에 영향 미치는 활동 = 286
팀 빌딩에서의 관리자 역할 = 286
팀 빌딩의 결과 = 288
요약 = 289
참고문헌 = 289
13장 조직 과정 접근법 = 292
조직 대면 회의 = 293
적용단계 = 293
대면 회의의 결과 = 294
집단 간 관계 개입 = 294
소우주 집단 = 296
집단 간 갈등의 해결 = 298
대규모 집단 개입 = 302
적용단계 = 305
대규모 집단 개입의 결과 = 313
요약 = 314
참고문헌 = 314
4부 기술구조적 개입
14장 재구조화 = 323
구조설계 = 324
기능별 구조 = 325
부문별 구조 = 326
매트릭스 구조 = 328
프로세스 구조 = 330
네트워크 구조 = 333
다운사이징 = 338
적용단계 = 341
다운사이징의 결과 = 344
리엔지니어링 = 347
적용단계 = 349
리엔지니어링의 결과 = 355
요약 = 355
참고문헌 = 356
15장 종업원 관여 = 359
종업원 관여의 정의 = 360
종업원 관여의 조작적 정의 = 360
종업원 관여 관행의 확산 = 361
종업원 관여와 생산성 = 362
종업원 관여의 적용 = 364
병렬구조 = 364
고관여 조직 = 370
전사적 품질경영 = 374
요약 = 387
참고문헌 = 387
16장 작업설계 = 390
엔지니어링 접근 = 391
동기부여 접근 = 392
핵심직무 차원 = 393
개인차 = 395
적용단계 = 395
직무충실화의 장애 = 398
직무충실화의 결과 = 400
사회기술시스템 접근 = 401
개념적 배경 = 401
자율관리 팀 = 403
적용단계 = 408
자율관리 팀의 결과 = 410
기술적, 개인적 욕구 충족 작업설계 = 414
기술 요소 = 415
구성원 욕구 요소 = 416
기술과 구성원 욕구의 결합 = 418
요약 = 419
참고문헌 = 420
5부 인적 자원 관리 개입
17장 성과관리 = 429
성과관리 모델 = 430
목표 설정 = 432
목표 설정의 특징 = 432
적용단계 = 434
목표에 의한 관리 = 435
목표 설정과 MBO의 효과 = 437
성과 평가 = 440
성과 평가 과정 = 441
적용단계 = 443
성과 평가의 효과 = 445
보상 체계 = 445
보상 체계의 구조적, 동기부여적 특성 = 448
스킬기반 임금시스템 = 451
성과기반 임금시스템 = 454
이익분배제 = 456
승진시스템 = 460
보상 체계 과정이슈 = 463
요약 = 465
참고문헌 = 466
18장 종업원의 개발과 지원 = 469
경력계획과 경력개발방안 = 469
경력단계 = 471
경력계획 = 472
경력개발 = 478
노동력의 다양성 지원 프로그램 = 488
연령 = 490
성별 = 491
인종/민족 = 492
성적 성향 = 493
장애(인) = 494
문화와 가치 = 495
스트레스관리제도와 건강복지제도 = 497
업무 휴가 = 498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 500
요약 = 511
참고문헌 = 514
6부 전략적 개입
19장 경쟁전략과 협력전략 = 527
환경의 분석틀 = 528
환경 유형 = 529
환경 차원 = 530
경쟁전략 = 532
통합적 전략 변화 = 533
인수합병 = 538
협력전략 = 544
협력전략의 목적 = 546
제휴 = 547
네트워크 = 549
요약 = 556
참고문헌 = 558
20장 조직변혁 = 562
변혁 과정의 특성 = 563
변화는 환경과 내부의 혼란에 의해 촉발된다 = 564
변화는 체계적이고 혁명적이다 = 564
변화는 새로운 조직 패러다임을 요구한다 = 565
변화는 최고경영진과 현장관리자들에 의해 주도된다 = 566
지속적인 학습과 변화 = 567
문화 변화 = 567
조직문화의 개념 = 567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 570
조직문화의 진단 = 572
적용단계 = 576
자율설계 조직 = 580
변혁적 변화의 요구 = 580
적용단계 = 583
조직학습과 지식경영 = 587
개념적 틀 = 588
학습하는 조직의 특성 = 590
조직학습 과정 = 591
조직 지식 = 598
조직학습과 지식경영의 결과 = 602
요약 = 604
참고문헌 = 605
7부 특수영역에서의 조직개발
21장 조직개발과 세계화 = 625
미국 이외 지역에서의 조직개발 = 626
문화 맥락 = 628
경제발전단계 = 631
문화맥락 및 경제발전단계와 조직개발 관행 = 632
세계적 조직개발 = 639
세계적 조직의 전략지향 = 640
국제적 지향 = 641
지구적 지향 = 643
다국적 지향 = 646
범국가적 지향 = 650
범세계적 사회변화 = 655
범세계적 사회변화조직 = 655
적용단계 = 657
변화담당자의 역할과 기술 = 661
요약 = 665
참고문헌 = 665
22장 비영리조직 환경에서의 조직개발: 의료, 가족기업, 학교시스템과 공공영역 = 670
의료분야에서의 조직개발 = 671
의료분야 환경의 추세 = 672
조직개발 시행의 기회 = 675
의료분야에서의 조직개발 성공의 원리 = 680
결론 = 681
가족 소유 기업에서의 조직개발 = 682
가족기업 시스템 = 682
가족기업에서의 중요한 문제 = 685
가족기업 시스템에서의 조직개발 개입 = 688
학교시스템에서의 조직개발 = 692
학교시스템의 독특한 특징 = 695
학교 조직개발의 시사점 = 696
학교에서의 고관여 경영 = 697
전사적 품질경영 = 698
학교기반경영 = 700
교실 관여 = 701
결론 = 701
공공부문에서의 조직개발 = 70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조직의 비교 = 704
공공부문 조직개발에서의 최근의 연구와 혁신 = 710
결론 = 712
요약 = 714
참고문헌 = 716
23장 조직개발의 미래 = 720
조직개발의 흐름 = 720
전통주의 = 721
실용주의 = 722
학문주의 = 722
조직개발의 미래를 위한 시사점 = 723
조직개발의 주변 환경의 동향 = 725
경제 = 725
노동력 = 729
조직 = 731
조직개발의 미래에 대한 시사점 = 733
요약 = 740
참고문헌 = 740
찾아보기 = 743
조직개발의 정의 = 15
조직개발의 성장과 그 유용성 = 19
조직개발의 역사 = 21
실험실 훈련 배경 = 22
액션리서치와 서베이 피드백 = 23
규범적 배경 = 24
생산성과 근로생활의 질 = 27
전략적 변화 = 28
조직개발의 전개 = 29
이 책의 구성 및 개요 = 31
요약 = 33
참고문헌 = 34
1부 조직개발 개관
2장 계획적 변화의 본질 = 41
계획적 변화 이론 = 41
Lewin의 변화 모델 = 42
액션리서치 모형 = 44
긍정적 모형 = 47
변화모형의 비교 = 49
계획적 변화의 일반 모델 = 50
진입과 계약 = 50
진단 = 51
변화의 계획과 수행 = 51
변화의 평가와 제도화 = 52
계획적 변화의 다양한 형태 = 52
변화의 강도 = 52
조직화의 정도 = 54
국내 환경 대 해외 환경 = 55
계획적 변화에 대한 비판 = 56
계획적 변화의 개념화 = 56
계획적 변화의 실천 = 57
요약 = 59
참고문헌 = 59
3장 조직개발 실행자 = 62
조직개발 실행자는 누구인가 = 63
효과적 조직개발 담당자의 기술과 지식 = 64
전문적 조직개발 실행자 = 69
조직개발 전문가의 역할 = 69
조직개발 전문가의 경력 = 75
직업적 가치관 = 76
직업적 윤리 = 77
윤리적 지침 = 78
윤리적 딜레마 = 78
요약 = 82
참고문헌 = 83
2부 조직개발 과정
4장 진입과 계약 = 89
조직개발 관계에의 진입 = 90
조직 문제 명확히 하기 = 91
관련 고객을 결정하기 = 92
조직개발 실행자 선정하기 = 93
계약하기 = 95
상호간의 기대 = 97
시간과 자원 = 98
기본 규칙 = 98
진입과 계약에서의 인간관계의 문제 = 99
요약 = 103
참고문헌 = 103
5장 조직 진단 = 105
진단이란 무엇인가 = 106
진단 모델의 필요성 = 107
개방 체계 모델 = 109
개방 체계로서의 조직 = 109
투입, 변환, 그리고 산출 = 109
경계 = 110
피드백 = 111
이인동과성 = 112
정렬 = 112
조직 체계에 대한 진단 = 113
조직 수준 진단 = 114
투입 = 115
설계 요소들 = 116
산출 = 119
정렬 = 120
분석 = 120
요약 = 127
참고문헌 = 128
6장 집단과 직무 진단 = 130
집단 수준 진단 = 130
투입 = 131
설계 요소 = 131
산출 = 133
적합성 = 134
분석 = 135
개인 수준 진단 = 138
투입 = 138
설계 요소 = 140
적합성 = 141
분석 = 141
요약 = 147
참고문헌 = 147
7장 진단 정보의 수집과 분석 = 149
진단을 위한 관계형성 = 149
자료수집 방법 = 152
설문조사 = 153
인터뷰 = 156
관찰 = 158
비개입적 측정 = 159
표본추출 = 160
자료 분석 기법 = 162
질적 도구 = 162
양적 도구 = 166
요약 = 170
참고문헌 = 170
8장 진단 정보의 피드백 = 172
피드백 내용 결정 = 172
피드백 과정의 특징 = 174
서베이 피드백 = 176
서베이 피드백 단계 = 179
서베이 피드백과 조직 의존성 = 180
서베이 피드백의 한계 = 182
서베이 피드백의 결과 = 183
요약 = 185
참고문헌 = 185
9장 개입의 설계 = 187
효과적인 개입이란 무엇인가 = 187
효과적인 개입을 설계하는 방법 = 188
변화상황과 관련된 상황요인 = 189
변화 대상과 관련된 상황요인 = 190
개입에 대한 개관 = 193
인간 과정 개입 = 193
기술구조적 개입 = 195
인적 자원 관리 개입 = 197
전략적 개입 = 198
요약 = 199
참고문헌 = 200
10장 변화관리 = 201
변화 활동 대한 개관 = 201
변화에 대한 동기부여 = 203
변화에 대한 준비 = 204
변화에 대한 저항 극복 = 205
비전 창출 = 207
핵심이념의 서술 = 209
미래 비전 구성 = 210
정치적 지지 구축 = 211
변화담당자의 권력 평가 = 214
주요 이해관계자의 파악 = 215
이해관계자에게 영향력 행사 = 216
이행관리 = 217
활동계획 = 217
몰입계획 = 219
변화관리 구조 = 219
변화 동력 지속 = 219
변화를 위한 자원의 공급 = 222
변화담당자를 위한 지지 시스템 구축 = 222
새로운 역량과 기술의 개발 = 222
새로운 행위의 강화 = 223
변화과정의 유지 = 223
요약 = 224
참고문헌 = 227
11장 조직개발개입의 평가 및 제도화 = 229
조직개발개입의 평가 = 229
실행과 평가피드백 = 230
측정 = 233
연구설계 = 239
개입의 제도화 = 245
제도화 관점 = 246
요약 = 252
참고문헌 = 254
3부 인간 과정 개입
12장 개인, 개인 간, 집단 과정 접근법 = 261
코칭 = 262
코칭의 목표 = 262
적용단계 = 263
코칭의 결과 = 264
훈련과 개발 = 254
훈련과 개발의 목표 = 265
적용단계 = 265
훈련의 결과 = 266
프로세스 자문 = 268
집단 프로세스 = 269
기본적 프로세스 개입 = 271
프로세스 자문의 결과 = 273
제3자 개입 = 275
갈등에 대한 에피소드 모형 = 276
갈등해결 프로세스의 촉진 = 278
팀 빌딩 = 279
팀 빌딩 활동 = 281
한 명 이상의 개인과 관련된 활동 = 283
집단 운영과 행동지향적인 활동 = 284
조직 내 다른 부분과의 집단 관계에 영향 미치는 활동 = 286
팀 빌딩에서의 관리자 역할 = 286
팀 빌딩의 결과 = 288
요약 = 289
참고문헌 = 289
13장 조직 과정 접근법 = 292
조직 대면 회의 = 293
적용단계 = 293
대면 회의의 결과 = 294
집단 간 관계 개입 = 294
소우주 집단 = 296
집단 간 갈등의 해결 = 298
대규모 집단 개입 = 302
적용단계 = 305
대규모 집단 개입의 결과 = 313
요약 = 314
참고문헌 = 314
4부 기술구조적 개입
14장 재구조화 = 323
구조설계 = 324
기능별 구조 = 325
부문별 구조 = 326
매트릭스 구조 = 328
프로세스 구조 = 330
네트워크 구조 = 333
다운사이징 = 338
적용단계 = 341
다운사이징의 결과 = 344
리엔지니어링 = 347
적용단계 = 349
리엔지니어링의 결과 = 355
요약 = 355
참고문헌 = 356
15장 종업원 관여 = 359
종업원 관여의 정의 = 360
종업원 관여의 조작적 정의 = 360
종업원 관여 관행의 확산 = 361
종업원 관여와 생산성 = 362
종업원 관여의 적용 = 364
병렬구조 = 364
고관여 조직 = 370
전사적 품질경영 = 374
요약 = 387
참고문헌 = 387
16장 작업설계 = 390
엔지니어링 접근 = 391
동기부여 접근 = 392
핵심직무 차원 = 393
개인차 = 395
적용단계 = 395
직무충실화의 장애 = 398
직무충실화의 결과 = 400
사회기술시스템 접근 = 401
개념적 배경 = 401
자율관리 팀 = 403
적용단계 = 408
자율관리 팀의 결과 = 410
기술적, 개인적 욕구 충족 작업설계 = 414
기술 요소 = 415
구성원 욕구 요소 = 416
기술과 구성원 욕구의 결합 = 418
요약 = 419
참고문헌 = 420
5부 인적 자원 관리 개입
17장 성과관리 = 429
성과관리 모델 = 430
목표 설정 = 432
목표 설정의 특징 = 432
적용단계 = 434
목표에 의한 관리 = 435
목표 설정과 MBO의 효과 = 437
성과 평가 = 440
성과 평가 과정 = 441
적용단계 = 443
성과 평가의 효과 = 445
보상 체계 = 445
보상 체계의 구조적, 동기부여적 특성 = 448
스킬기반 임금시스템 = 451
성과기반 임금시스템 = 454
이익분배제 = 456
승진시스템 = 460
보상 체계 과정이슈 = 463
요약 = 465
참고문헌 = 466
18장 종업원의 개발과 지원 = 469
경력계획과 경력개발방안 = 469
경력단계 = 471
경력계획 = 472
경력개발 = 478
노동력의 다양성 지원 프로그램 = 488
연령 = 490
성별 = 491
인종/민족 = 492
성적 성향 = 493
장애(인) = 494
문화와 가치 = 495
스트레스관리제도와 건강복지제도 = 497
업무 휴가 = 498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 500
요약 = 511
참고문헌 = 514
6부 전략적 개입
19장 경쟁전략과 협력전략 = 527
환경의 분석틀 = 528
환경 유형 = 529
환경 차원 = 530
경쟁전략 = 532
통합적 전략 변화 = 533
인수합병 = 538
협력전략 = 544
협력전략의 목적 = 546
제휴 = 547
네트워크 = 549
요약 = 556
참고문헌 = 558
20장 조직변혁 = 562
변혁 과정의 특성 = 563
변화는 환경과 내부의 혼란에 의해 촉발된다 = 564
변화는 체계적이고 혁명적이다 = 564
변화는 새로운 조직 패러다임을 요구한다 = 565
변화는 최고경영진과 현장관리자들에 의해 주도된다 = 566
지속적인 학습과 변화 = 567
문화 변화 = 567
조직문화의 개념 = 567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 570
조직문화의 진단 = 572
적용단계 = 576
자율설계 조직 = 580
변혁적 변화의 요구 = 580
적용단계 = 583
조직학습과 지식경영 = 587
개념적 틀 = 588
학습하는 조직의 특성 = 590
조직학습 과정 = 591
조직 지식 = 598
조직학습과 지식경영의 결과 = 602
요약 = 604
참고문헌 = 605
7부 특수영역에서의 조직개발
21장 조직개발과 세계화 = 625
미국 이외 지역에서의 조직개발 = 626
문화 맥락 = 628
경제발전단계 = 631
문화맥락 및 경제발전단계와 조직개발 관행 = 632
세계적 조직개발 = 639
세계적 조직의 전략지향 = 640
국제적 지향 = 641
지구적 지향 = 643
다국적 지향 = 646
범국가적 지향 = 650
범세계적 사회변화 = 655
범세계적 사회변화조직 = 655
적용단계 = 657
변화담당자의 역할과 기술 = 661
요약 = 665
참고문헌 = 665
22장 비영리조직 환경에서의 조직개발: 의료, 가족기업, 학교시스템과 공공영역 = 670
의료분야에서의 조직개발 = 671
의료분야 환경의 추세 = 672
조직개발 시행의 기회 = 675
의료분야에서의 조직개발 성공의 원리 = 680
결론 = 681
가족 소유 기업에서의 조직개발 = 682
가족기업 시스템 = 682
가족기업에서의 중요한 문제 = 685
가족기업 시스템에서의 조직개발 개입 = 688
학교시스템에서의 조직개발 = 692
학교시스템의 독특한 특징 = 695
학교 조직개발의 시사점 = 696
학교에서의 고관여 경영 = 697
전사적 품질경영 = 698
학교기반경영 = 700
교실 관여 = 701
결론 = 701
공공부문에서의 조직개발 = 70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조직의 비교 = 704
공공부문 조직개발에서의 최근의 연구와 혁신 = 710
결론 = 712
요약 = 714
참고문헌 = 716
23장 조직개발의 미래 = 720
조직개발의 흐름 = 720
전통주의 = 721
실용주의 = 722
학문주의 = 722
조직개발의 미래를 위한 시사점 = 723
조직개발의 주변 환경의 동향 = 725
경제 = 725
노동력 = 729
조직 = 731
조직개발의 미래에 대한 시사점 = 733
요약 = 740
참고문헌 = 740
찾아보기 = 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