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논증과 글쓰기
제1장 왜 논증과 글쓰기인가? = 15
1. 정보사회와 글쓰기 = 15
2. 논증적 글쓰기 = 18
3. 논증적 글쓰기의 과정 = 21
제2편 논증의 원리
제1장 문제 파악과 주제 설정 = 28
1. 문제 파악 = 28
2. 주제 설정 = 34
제2장 논증의 구조와 유형 = 40
1. 논증의 요소와 구조 = 42
2. 논증의 유형 = 50
1) 일반화에 의한 논증 = 51
2) 원인-결과에 의한 논증 = 52
3) 유비에 의한 논증 = 53
4) 권위에 의한 논증 = 55
5) 표본에 의한 논증 = 58
제3장 좋은 논증의 조건(ARS+r) = 64
1. 전제의 수용가능성(A) = 66
2. 전제의 결론연관성(R) = 67
3. 전제의 적절충분성(S) = 69
4. 반론의 설득가능성(r) = 72
제4장 논증의 평가와 오류 = 76
1. 전제의 수용가능성과 오류 = 78
1) 필연적 진리 = 78
2) 상식 = 83
3) 증언 = 86
4) 권위 = 89
2. 전제의 결론연관성 및 적절충분성과 오류 = 91
1) 논점 일탈의 오류 = 94
2) 허수아비 논증의 오류 = 95
3) 인신공격의 오류 = 96
4) 발생적 오류 = 97
제3편 논증과 읽기
제1장 분석적 읽기 = 105
1. 글의 구조를 이루는 내용 = 106
1) 배경설명 = 109
2) 문제제기 = 109
3) 예시적 사례 = 110
4) 증거 혹은 근거 = 110
5) 주장 혹은 결론 = 111
2. 분석적 읽기의 단계 = 111
1) 첫 번째 단계 : 문장 사이의 논리적 연관 읽기 = 112
2) 두 번째 단계 : 단락 사이의 논리적 구조 읽기 = 115
3) 세 번째 단계 : 글 전체의 논리적 체계 파악하기 = 122
제2장 비판적 읽기 = 131
1. 비판적 읽기에 대한 정의 = 131
2. 비판적 읽기의 단계 = 133
1) 첫 번째 단계 : ARS 원칙에 근거한 논리적 정합성에 대한 비판 = 133
2) 두 번째 단계 : 글을 형성하는 맥락에 대한 비판 = 147
제4편 논증과 쓰기
제1장 논증 정교화 = 160
1. 주장을 확정하라 = 161
1) 주장의 논리적 구조를 따져 보자 = 163
2) 피설명항과 설명항으로 나누기 = 164
2. 주장을 담을 그릇을 마련하라 = 166
1) 새만금 간척사업의 경우 = 166
2) 리틀 빅혼 국립공원의 경우 = 168
3. 주장과의 관계에서 논거를 선택하라 = 170
4. 논거를 발전시켜라 = 177
5. 예상 반론에 대해 선제 답변을 하라 = 182
제2장 논증글 쓰기 = 185
1. 개요 작성 = 186
1) 논증 구조도를 이용한 개요 작성 요령 = 187
2) 논증과 쓰기 연결하기 = 189
2. 단락 쓰기 = 191
1) 본론부터 써라 = 192
2) 단락을 체계적으로 논증하라 = 193
3) 세부 표현에 강해지자 = 200
4) 결론 쓰기 = 208
5) 서론 쓰기 = 212
3. 최종 점검 = 220
1) 논증 점검 = 220
2) 문장 점검 = 223
3) 제목 달기 = 224
부록
논증으로 배우는 통합형 논술 = 229
참고문헌 = 245
제1편 논증과 글쓰기
제1장 왜 논증과 글쓰기인가? = 15
1. 정보사회와 글쓰기 = 15
2. 논증적 글쓰기 = 18
3. 논증적 글쓰기의 과정 = 21
제2편 논증의 원리
제1장 문제 파악과 주제 설정 = 28
1. 문제 파악 = 28
2. 주제 설정 = 34
제2장 논증의 구조와 유형 = 40
1. 논증의 요소와 구조 = 42
2. 논증의 유형 = 50
1) 일반화에 의한 논증 = 51
2) 원인-결과에 의한 논증 = 52
3) 유비에 의한 논증 = 53
4) 권위에 의한 논증 = 55
5) 표본에 의한 논증 = 58
제3장 좋은 논증의 조건(ARS+r) = 64
1. 전제의 수용가능성(A) = 66
2. 전제의 결론연관성(R) = 67
3. 전제의 적절충분성(S) = 69
4. 반론의 설득가능성(r) = 72
제4장 논증의 평가와 오류 = 76
1. 전제의 수용가능성과 오류 = 78
1) 필연적 진리 = 78
2) 상식 = 83
3) 증언 = 86
4) 권위 = 89
2. 전제의 결론연관성 및 적절충분성과 오류 = 91
1) 논점 일탈의 오류 = 94
2) 허수아비 논증의 오류 = 95
3) 인신공격의 오류 = 96
4) 발생적 오류 = 97
제3편 논증과 읽기
제1장 분석적 읽기 = 105
1. 글의 구조를 이루는 내용 = 106
1) 배경설명 = 109
2) 문제제기 = 109
3) 예시적 사례 = 110
4) 증거 혹은 근거 = 110
5) 주장 혹은 결론 = 111
2. 분석적 읽기의 단계 = 111
1) 첫 번째 단계 : 문장 사이의 논리적 연관 읽기 = 112
2) 두 번째 단계 : 단락 사이의 논리적 구조 읽기 = 115
3) 세 번째 단계 : 글 전체의 논리적 체계 파악하기 = 122
제2장 비판적 읽기 = 131
1. 비판적 읽기에 대한 정의 = 131
2. 비판적 읽기의 단계 = 133
1) 첫 번째 단계 : ARS 원칙에 근거한 논리적 정합성에 대한 비판 = 133
2) 두 번째 단계 : 글을 형성하는 맥락에 대한 비판 = 147
제4편 논증과 쓰기
제1장 논증 정교화 = 160
1. 주장을 확정하라 = 161
1) 주장의 논리적 구조를 따져 보자 = 163
2) 피설명항과 설명항으로 나누기 = 164
2. 주장을 담을 그릇을 마련하라 = 166
1) 새만금 간척사업의 경우 = 166
2) 리틀 빅혼 국립공원의 경우 = 168
3. 주장과의 관계에서 논거를 선택하라 = 170
4. 논거를 발전시켜라 = 177
5. 예상 반론에 대해 선제 답변을 하라 = 182
제2장 논증글 쓰기 = 185
1. 개요 작성 = 186
1) 논증 구조도를 이용한 개요 작성 요령 = 187
2) 논증과 쓰기 연결하기 = 189
2. 단락 쓰기 = 191
1) 본론부터 써라 = 192
2) 단락을 체계적으로 논증하라 = 193
3) 세부 표현에 강해지자 = 200
4) 결론 쓰기 = 208
5) 서론 쓰기 = 212
3. 최종 점검 = 220
1) 논증 점검 = 220
2) 문장 점검 = 223
3) 제목 달기 = 224
부록
논증으로 배우는 통합형 논술 = 229
참고문헌 =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