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한ㆍ미 관계의 태동 = 17
1. 아시아함대의 역할 = 17
2. 미국 포함외교의 전통 = 18
3. 일본 및 조선에 대한 통상사절단 파견안 = 19
4. 미국의 고래잡이 어선에 의한 한ㆍ미 접선 = 20
5. 제너럴 셔먼호 방화 사건 = 20
6. 아시아함대의 조선 파견 의도 = 24
7. 조선 국왕에 보내는 친서 = 25
8. 한ㆍ미 전쟁에 대한 「뉴욕타임즈」 특보 = 28
9. 조선 개항 유도 실패 원인 = 30
10. 한ㆍ미 수교를 위한 서전트 의원의 결의안 = 32
11.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882년 전) = 32
제2장 한ㆍ미 수교 = 38
1. 한ㆍ미 수호 조약 = 38
2. 한ㆍ미 수호 조약의 역사적 의의 = 40
3. 미국의 대한 거중조정 = 41
4. 묄렌도르프와 한국 = 44
5. 조선보빙사(견미사절단) 파미 = 46
6. 미국 이민법의 변천 과정 = 48
7. 한국의 개화 운동과 한ㆍ미 문화 교류 = 50
8. 선교사 알렌과 한국 근대화 운동 = 53
9.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 55
10. 미국 목사들에 의한 교육 사업 = 57
11. 데니의 반청 정신 = 60
12. 헐버트의 한국 독립 운동 = 61
13. 미국 상주 한국 공사관 개설 = 65
14. 미국대학 최초의 졸업생 변수 = 66
15. 민비 시해 사건 = 69
16. 하와이 미국령 병합 = 71
17. 독립협회 = 71
18. 한국의 역대 고문관들 = 73
19.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882~1900) = 75
제3장 미주 한인 이민과 한미 관계 = 82
1. 수민원과 모집상황 = 82
2. 도산 안창호 = 83
3. 첫 이민선 도착 = 87
4. 루즈벨트 대통령의 친일ㆍ반러 정책 = 89
5. 포츠머스 강화 회담 = 90
6. 미 대통령에게 보내는 하와이 동포의 청원서 = 91
7. 미ㆍ일 비밀 각서 = 92
8. 루즈벨트 미 대통령에게 보내는 고종 황제의 친서 = 92
9. 을사조약은 날조된 문서 = 96
10. 러시아 황제에게 보낸 고종 황제의 친서 = 97
11. 고종 황제의 호소 = 99
12. 전명운ㆍ장인환의 거주 이전 = 100
13. 을사조약 무효의 언론보도 = 102
14. 스티븐스의 친일ㆍ반한 외교 정책 = 103
15. 스티븐스 암살 = 105
16. 박용만의 독립전쟁론 = 107
17. 대한인 국민회 = 110
18. 이승만과 이세교육 = 113
19. 초창기 교민 단체 = 115
20.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00~1909) = 116
제4장 1910년대의 독립운동 = 123
1. 한일합방과 독립운동의 여정 = 123
2. 주미 한국 공사관의 운명 = 124
3. 이승만의 활동과 미국 정부의 임시정부 승인 거부 = 125
4. 안창호의 홍사단 = 130
5. 박용만의 국민군단 창설 = 131
6. 1920년대의 사진결혼 = 134
7. 3ㆍ1 운동 소식 = 135
8. 대한민국 임시정부 = 138
9. 서재필의 제1회 한인대표자회의 = 141
10. 집정관 총재 = 143
11. 대한 여자 애국단 = 146
12.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10~1919) = 147
제5장 1920년대의 독립운동 = 153
1. 비행사 양성소 = 153
2. 미국의원단 환영 = 153
3. 임정독립청원서 = 154
4. 이승만 동지회 조직 = 155
5. 태평양시사 습격 = 158
6. 북미 대한인 국민회 = 159
7. 뉴욕 한인교민단 = 160
8. 광복운동 = 160
9.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20~1929) = 161
제6장 1930년대의 재외한인 사회 = 165
1. 한인사회의 발전 = 165
2. 하와이 애국단 = 166
3. 하와이 대한국민회 = 166
4. 한ㆍ미 관계 50년사 = 167
5.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30~1939) = 168
제7장 1940년대의 독립운동 = l72
1. 김구의 미 대통령에게 보낸 성명 = 172
2. 재미 한족 연합 위원회 모임 = 173
3. 한국 국민회의 본부가 미 대통령에게 보낸 공문 = 175
4. 광복을 전후 한 재미 한인 사회 = 175
5. 카이로 선언 = 179
6. 한국의 전후 지위에 관한 미 국무성의 정책 건의서 = 180
7. 얄타회담 = 180.
8. 포츠담 회담 = 180
9. 38선 획정안 = 181
10. 연합국 최고 사령부 일반 명령 제1호 = 183
11. 미 군정 = 184
12. 이승만 귀국 담화 = 186
13. 한국 신정부에 대한 미국 정책 = 186
14. 대한민국 정부 수립 = 187
15. 미국의 대한민국 승인 = 188
16. 미 국무성의 미 철군에 대한 성명 = 189
17.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40~1949) = 189
제8장 6ㆍ25 전쟁과 휴전 = 206
1. 한미 상호 방위 원조 협정 = 206
2. 동족상잔의 비극 = 206
3. 작전 지휘권 이양 = 209
4. 중공군의 한국전 개입 = 210
5. 한국재건운동 지원과 이민 50주년 = 210
6. 휴전 반대 운동 = 212
7. 반공포로 석방 = 212
8. 한국군사 휴전 협정 = 213
9. 전후 이승만 대통령과 덜레스 미 국무장관과의 공동성명 = 214
10. 한미 상호 방위 조약 = 214
11. 제네바 정치회담에서 제출한 외무장관의 통일방안 = 215
12. 이ㆍ아이젠하워 공동성명 = 215
13.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50~1959) = 216
제9장 4ㆍ19와 군사혁명 = 232
1. 4ㆍ19때 미 국무성의 반응 = 232
2. 허정 내무수반과 미 대통령의 공동성명 = 232
3. 장면 정권 = 233
4. 독재 정권과 민주화 운동 = 233
5. 케네디와 존슨의 등장 = 234
6. 박정희 장군의 등장 = 235
7. 군사혁명에 대한 미 국무성의 성명 = 236
8. 박ㆍ케네디 공동성명 = 236
9. 월남파병과 한ㆍ미 밀월 관계 = 237
10. 베트남 전쟁 참여와 경제 발전 = 238
11. 월남 파병에 관한 한ㆍ미 대통령의 친서 = 241
12. 새 이민법에 의한 대량 이민 = 241
13. 주한 미군 지위 협정에 대한 발표문 = 243
14. 박ㆍ존슨 대통령의 공동성명 = 243
15. 박ㆍ닉슨 대통령의 공동성명 = 244
16.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60~1969) = 244
제10장 1970년대의 한국 정세와 미주한인사회 = 259
1. 한인타운 급성장 = 259
2. 제1차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 공동성명 = 260
3. 남북대화의 진전과 교류시동 = 261
4. 이철수 사건 = 262
5. 한국의 인권 문제 = 262
6. 한국의 날 축제 = 264
7. 박ㆍ포드 대통령의 공동성명 = 265
8. 박정희 유신정권과 한ㆍ미 불편관계 = 265
9. 개정된 미국 이민법 = 258
10. 카터 대통령이 박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 = 270
11. 박ㆍ카터 대통령의 공동성명 = 271
12. 민주화 운동과 박정희 대통령의 사망 = 271
13. 12ㆍ12 사태 = 273
14.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70~1979) = 273
제11장 민중항쟁과 올림픽 대회 = 295
1. 광주 민중 항쟁 = 295
2. 미국의 경제 원조와 경제 성장 = 297
3. 전두환 신군부 등장 = 299
4. 전두환 대통령 LA 방문 = 300
5. 전ㆍ레이건의 한ㆍ미 동맹관계 = 301
6. 코리아타운 형성 = 303
7. 대한항공 소속 KAL 007기 격추 = 304
8. 아웅산 묘역의 폭탄 테러사건 = 305
9. 올림픽 대회 = 305
10. 고르바초프의 등장 = 306
11. 노태우 정권 등장 = 306
12.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80~1989) = 307
제12장 민주화 및 통일운동과 인권운동 = 348
1. 민주화 및 통일운동 = 348
2. 북한 방문 = 350
3. 미국의 인권 문제 = 352
4. LA 4ㆍ29 폭동 = 353
5. 미국 정계 진출 = 360
6. 김영삼 정권의 북미 협상 인정과 제네바 기본 합의문 = 360
7. 평상시 군사 작전 지휘권 회수 = 361
8. 대학 입시 과목에 한국어 등장 = 362
9. 미국 지상주의 = 363
10. 중립적인 평화통일 단체 = 366
11. 김대중 정부 등장 = 369
12. 재외 동포법 = 370
13.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90~1999) = 372
제13장 21세기를 맞이하여 = 396
1. 미주 한인사회의 새 천년맞이 = 396
2. 조명록의 방미와 올브라이트 방북 = 398
3. 부시 독트린 = 399
4. 아메리칸 드림 = 400
5. 미주 한인의 날 = 402
6. SOFA(한미 행정 협정) = 406
7. 친미의식과 반미의식 = 408
8. 노무현 정부 등장 = 410
9.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2000~2006) = 411
참고 및 인용 문헌 = 439
편저자 소개 = 441
제1장 한ㆍ미 관계의 태동 = 17
1. 아시아함대의 역할 = 17
2. 미국 포함외교의 전통 = 18
3. 일본 및 조선에 대한 통상사절단 파견안 = 19
4. 미국의 고래잡이 어선에 의한 한ㆍ미 접선 = 20
5. 제너럴 셔먼호 방화 사건 = 20
6. 아시아함대의 조선 파견 의도 = 24
7. 조선 국왕에 보내는 친서 = 25
8. 한ㆍ미 전쟁에 대한 「뉴욕타임즈」 특보 = 28
9. 조선 개항 유도 실패 원인 = 30
10. 한ㆍ미 수교를 위한 서전트 의원의 결의안 = 32
11.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882년 전) = 32
제2장 한ㆍ미 수교 = 38
1. 한ㆍ미 수호 조약 = 38
2. 한ㆍ미 수호 조약의 역사적 의의 = 40
3. 미국의 대한 거중조정 = 41
4. 묄렌도르프와 한국 = 44
5. 조선보빙사(견미사절단) 파미 = 46
6. 미국 이민법의 변천 과정 = 48
7. 한국의 개화 운동과 한ㆍ미 문화 교류 = 50
8. 선교사 알렌과 한국 근대화 운동 = 53
9.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 55
10. 미국 목사들에 의한 교육 사업 = 57
11. 데니의 반청 정신 = 60
12. 헐버트의 한국 독립 운동 = 61
13. 미국 상주 한국 공사관 개설 = 65
14. 미국대학 최초의 졸업생 변수 = 66
15. 민비 시해 사건 = 69
16. 하와이 미국령 병합 = 71
17. 독립협회 = 71
18. 한국의 역대 고문관들 = 73
19.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882~1900) = 75
제3장 미주 한인 이민과 한미 관계 = 82
1. 수민원과 모집상황 = 82
2. 도산 안창호 = 83
3. 첫 이민선 도착 = 87
4. 루즈벨트 대통령의 친일ㆍ반러 정책 = 89
5. 포츠머스 강화 회담 = 90
6. 미 대통령에게 보내는 하와이 동포의 청원서 = 91
7. 미ㆍ일 비밀 각서 = 92
8. 루즈벨트 미 대통령에게 보내는 고종 황제의 친서 = 92
9. 을사조약은 날조된 문서 = 96
10. 러시아 황제에게 보낸 고종 황제의 친서 = 97
11. 고종 황제의 호소 = 99
12. 전명운ㆍ장인환의 거주 이전 = 100
13. 을사조약 무효의 언론보도 = 102
14. 스티븐스의 친일ㆍ반한 외교 정책 = 103
15. 스티븐스 암살 = 105
16. 박용만의 독립전쟁론 = 107
17. 대한인 국민회 = 110
18. 이승만과 이세교육 = 113
19. 초창기 교민 단체 = 115
20.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00~1909) = 116
제4장 1910년대의 독립운동 = 123
1. 한일합방과 독립운동의 여정 = 123
2. 주미 한국 공사관의 운명 = 124
3. 이승만의 활동과 미국 정부의 임시정부 승인 거부 = 125
4. 안창호의 홍사단 = 130
5. 박용만의 국민군단 창설 = 131
6. 1920년대의 사진결혼 = 134
7. 3ㆍ1 운동 소식 = 135
8. 대한민국 임시정부 = 138
9. 서재필의 제1회 한인대표자회의 = 141
10. 집정관 총재 = 143
11. 대한 여자 애국단 = 146
12.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10~1919) = 147
제5장 1920년대의 독립운동 = 153
1. 비행사 양성소 = 153
2. 미국의원단 환영 = 153
3. 임정독립청원서 = 154
4. 이승만 동지회 조직 = 155
5. 태평양시사 습격 = 158
6. 북미 대한인 국민회 = 159
7. 뉴욕 한인교민단 = 160
8. 광복운동 = 160
9.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20~1929) = 161
제6장 1930년대의 재외한인 사회 = 165
1. 한인사회의 발전 = 165
2. 하와이 애국단 = 166
3. 하와이 대한국민회 = 166
4. 한ㆍ미 관계 50년사 = 167
5.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30~1939) = 168
제7장 1940년대의 독립운동 = l72
1. 김구의 미 대통령에게 보낸 성명 = 172
2. 재미 한족 연합 위원회 모임 = 173
3. 한국 국민회의 본부가 미 대통령에게 보낸 공문 = 175
4. 광복을 전후 한 재미 한인 사회 = 175
5. 카이로 선언 = 179
6. 한국의 전후 지위에 관한 미 국무성의 정책 건의서 = 180
7. 얄타회담 = 180.
8. 포츠담 회담 = 180
9. 38선 획정안 = 181
10. 연합국 최고 사령부 일반 명령 제1호 = 183
11. 미 군정 = 184
12. 이승만 귀국 담화 = 186
13. 한국 신정부에 대한 미국 정책 = 186
14. 대한민국 정부 수립 = 187
15. 미국의 대한민국 승인 = 188
16. 미 국무성의 미 철군에 대한 성명 = 189
17.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40~1949) = 189
제8장 6ㆍ25 전쟁과 휴전 = 206
1. 한미 상호 방위 원조 협정 = 206
2. 동족상잔의 비극 = 206
3. 작전 지휘권 이양 = 209
4. 중공군의 한국전 개입 = 210
5. 한국재건운동 지원과 이민 50주년 = 210
6. 휴전 반대 운동 = 212
7. 반공포로 석방 = 212
8. 한국군사 휴전 협정 = 213
9. 전후 이승만 대통령과 덜레스 미 국무장관과의 공동성명 = 214
10. 한미 상호 방위 조약 = 214
11. 제네바 정치회담에서 제출한 외무장관의 통일방안 = 215
12. 이ㆍ아이젠하워 공동성명 = 215
13.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50~1959) = 216
제9장 4ㆍ19와 군사혁명 = 232
1. 4ㆍ19때 미 국무성의 반응 = 232
2. 허정 내무수반과 미 대통령의 공동성명 = 232
3. 장면 정권 = 233
4. 독재 정권과 민주화 운동 = 233
5. 케네디와 존슨의 등장 = 234
6. 박정희 장군의 등장 = 235
7. 군사혁명에 대한 미 국무성의 성명 = 236
8. 박ㆍ케네디 공동성명 = 236
9. 월남파병과 한ㆍ미 밀월 관계 = 237
10. 베트남 전쟁 참여와 경제 발전 = 238
11. 월남 파병에 관한 한ㆍ미 대통령의 친서 = 241
12. 새 이민법에 의한 대량 이민 = 241
13. 주한 미군 지위 협정에 대한 발표문 = 243
14. 박ㆍ존슨 대통령의 공동성명 = 243
15. 박ㆍ닉슨 대통령의 공동성명 = 244
16.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60~1969) = 244
제10장 1970년대의 한국 정세와 미주한인사회 = 259
1. 한인타운 급성장 = 259
2. 제1차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 공동성명 = 260
3. 남북대화의 진전과 교류시동 = 261
4. 이철수 사건 = 262
5. 한국의 인권 문제 = 262
6. 한국의 날 축제 = 264
7. 박ㆍ포드 대통령의 공동성명 = 265
8. 박정희 유신정권과 한ㆍ미 불편관계 = 265
9. 개정된 미국 이민법 = 258
10. 카터 대통령이 박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 = 270
11. 박ㆍ카터 대통령의 공동성명 = 271
12. 민주화 운동과 박정희 대통령의 사망 = 271
13. 12ㆍ12 사태 = 273
14.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70~1979) = 273
제11장 민중항쟁과 올림픽 대회 = 295
1. 광주 민중 항쟁 = 295
2. 미국의 경제 원조와 경제 성장 = 297
3. 전두환 신군부 등장 = 299
4. 전두환 대통령 LA 방문 = 300
5. 전ㆍ레이건의 한ㆍ미 동맹관계 = 301
6. 코리아타운 형성 = 303
7. 대한항공 소속 KAL 007기 격추 = 304
8. 아웅산 묘역의 폭탄 테러사건 = 305
9. 올림픽 대회 = 305
10. 고르바초프의 등장 = 306
11. 노태우 정권 등장 = 306
12.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80~1989) = 307
제12장 민주화 및 통일운동과 인권운동 = 348
1. 민주화 및 통일운동 = 348
2. 북한 방문 = 350
3. 미국의 인권 문제 = 352
4. LA 4ㆍ29 폭동 = 353
5. 미국 정계 진출 = 360
6. 김영삼 정권의 북미 협상 인정과 제네바 기본 합의문 = 360
7. 평상시 군사 작전 지휘권 회수 = 361
8. 대학 입시 과목에 한국어 등장 = 362
9. 미국 지상주의 = 363
10. 중립적인 평화통일 단체 = 366
11. 김대중 정부 등장 = 369
12. 재외 동포법 = 370
13.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1990~1999) = 372
제13장 21세기를 맞이하여 = 396
1. 미주 한인사회의 새 천년맞이 = 396
2. 조명록의 방미와 올브라이트 방북 = 398
3. 부시 독트린 = 399
4. 아메리칸 드림 = 400
5. 미주 한인의 날 = 402
6. SOFA(한미 행정 협정) = 406
7. 친미의식과 반미의식 = 408
8. 노무현 정부 등장 = 410
9. 한ㆍ미 관계의 중요일지(2000~2006) = 411
참고 및 인용 문헌 = 439
편저자 소개 =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