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3
추천의 글 = 7
저자 서문 = 11
들어가는 말 = 21
제1부
제1장 모래놀이치료와 프시케의 이미지로서의 數 = 39
모래놀이치료란 무엇인가 = 40
數를 발견하기 위해 왜 모래놀이치료를 사용하는가 = 42
자유에 대한 열쇠로서의 원형 = 43
제2장 數는 모래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 49
기학학적인 배열 = 50
수량 = 50
질서정연한 정돈과 재등장 = 52
주제 = 54
공간분할 = 54
색상 = 54
상징과 분위기 = 56
모래놀이 분석을 위한 지침 = 58
제3장 1의 원형: 통일성 = 61
數 1의 기하학 = 62
출생과정으로서의 1 = 66
요약 = 77
제4장 2의 원형: 이원성, 양극화와 분화 = 79
다른 한쪽의 탄생 = 81
자아의 탄생, 고통의 탄생 = 82
인간의 타락: 물질로서의 2 = 86
물의 원소로서의 2 = 88
양극으로서의 2: 끌어당김과 배척 = 89
문의 탄생, 여성적 분위기로서의 2 = 91
요약 = 95
제5장 3의 원형: 삼위일체, 새로운 통합 = 97
이원성에서 삼원성으로의 합(合) = 98
의식으로의 도약, 고유한 전체주의로서의 3 = 101
영웅으로서의 3: 나아갈 방향과 목적에 대한 역동적인 힘 = 104
창조성와 성장, 초월 기능으로서의 3 = 106
자아의 확장으로서의 3 = 109
상대적 전체성으로서의 3 = 111
3은 부분보다 많은 전체로서의 네 번째를 부른다 = 112
요약 = 114
제6장 4의 원형: 자기실현으로서의 사위일체 = 119
여성성 혹은 어머니, 실현으로서의 4 = 121
전체성을 향한 분화와 구조의 적용 = 125
제한에 대한 투쟁 = 129
1의 실현 = 131
의식 기능에서의 數 4 = 132
연금술적 변형으로서의 4 = 134
충분히 이해하기 = 136
요약 = 138
제7장 5의 원형: 본질, 자각, 재생 = 141
네 개의 기본 방위점과 다섯 번째의 중앙점으로 상징되는 십자가 = 142
별표: 세계와 자기와의 관계 = 145
생명을 주다 = 147
5는 그 자체로서 전체의 재생을 나타낸다 = 150
자기 자신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헌신 = 153
영웅의 탄생: 관점과 관용 간의 투쟁 = 156
5의 어두운 면: 악마와 악마를 물리침 = 157
본질로서의 5 : 4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통일성 = 160
요약 = 162
제8장 6의 원형: 대극의 합일과 통합 = 165
6선 별모양: 상반된 세계의 반영 = 166
신성한 결혼과 '나 - 너'와의 관계 = 167
개방적이기보다는 규범적인 6 = 169
육각 별모양 안에 있는 생산적이고 조화로운 구조와 질서 = 169
잠재적 투쟁과 통합으로서의 6 = 172
사회, 질서, 목표를 통한 개인과 우주와의 통합 = 175
대극의 합일인 6 = 176
요약 = 179
제9장 7의 원형: 지혜로 가는 입문 = 181
정신에서 물질로 가는 분위기: 3+4 = 182
동정녀로서의 數 7 = 184
진동으로 나타나는 변화의 일곱 가지 길 = 186
정신의 직접적인 경험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의 무지개 = 190
내적인 변화로서의 數 7, 어둠으로의 여정 = 193
요구 = 195
지하세계로의 이동 = 196
정화작용으로사의 數 7 = 199
귀환 = 202
요약 = 204
제10장 8의 원형: 4의 행운과 길조의 두배 = 209
4의 두 배 = 210
어머니의 양면성 = 212
영혼의 복귀와 물질에서의 해방이라는 의미의 8 = 219
개인적인 현실의 재구성 = 223
신의 계획에의 참여 = 226
요약 = 231
제11장 9의 원형: 마지막 신성한 數 = 235
마지막 數 및 전체적인 아홉 면을 상징하는 9 = 236
죽음 = 237
모든 표현이 하나로 돌아가는 것을 상징하는 9 = 239
생사(生死) 사이의 과도기 상태 = 247
탄생과 임신을 나타내는 9 = 251
미로를 상징하는 9 = 253
불멸성을 상징하는 9 = 255
여자 노파 및 성숙한 아니마를 상징하는 9 = 256
요약 = 260
제2부
제12장 에릭슨의 심리발달체계와 비교해 본 1부터 9까지의 數 체계 = 265
1부터 9까지 진화론적 개관 = 267
에릭슨의 발달모델과 數와의 상관성 = 268
제13장 다양성 안의 통일성: 數 원형에 관련된 동양의 동시적 접근 = 273
모래놀이에서 각각의 數로 나타나는 자기(Self) = 275
주제와 변화 = 277
數를 통한 창조와 변형 = 277
數를 통해 나타나는 관심의 주제 = 279
數를 통해 나타나는 사랑의 주제 = 280
數에 따른 감정 상태 = 281
제14장 數와 십우도 = 285
발달적 관점 - 외향성 = 286
동시적 관점 - 내향성 = 287
제15장 數 원형의 정적인 측면 또는 역동적 측면 = 305
요약 = 308
제16장 전이문제에 대한 지침으로서의 數 원형 = 309
제17장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 자료 이용하기 = 317
각 사례에 대해 개별화하여 분석하기 = 318
제3부
제18장 數 놀이 = 325
1. 개관: 일반적인 지침
2. 數 요약
3. 실습
부록 : 인생행로의 數 = 393
용어풀이 = 439
참고문헌 = 444
그림목록 = 451
찾아보기 = 457
역자 서문 = 3
추천의 글 = 7
저자 서문 = 11
들어가는 말 = 21
제1부
제1장 모래놀이치료와 프시케의 이미지로서의 數 = 39
모래놀이치료란 무엇인가 = 40
數를 발견하기 위해 왜 모래놀이치료를 사용하는가 = 42
자유에 대한 열쇠로서의 원형 = 43
제2장 數는 모래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 49
기학학적인 배열 = 50
수량 = 50
질서정연한 정돈과 재등장 = 52
주제 = 54
공간분할 = 54
색상 = 54
상징과 분위기 = 56
모래놀이 분석을 위한 지침 = 58
제3장 1의 원형: 통일성 = 61
數 1의 기하학 = 62
출생과정으로서의 1 = 66
요약 = 77
제4장 2의 원형: 이원성, 양극화와 분화 = 79
다른 한쪽의 탄생 = 81
자아의 탄생, 고통의 탄생 = 82
인간의 타락: 물질로서의 2 = 86
물의 원소로서의 2 = 88
양극으로서의 2: 끌어당김과 배척 = 89
문의 탄생, 여성적 분위기로서의 2 = 91
요약 = 95
제5장 3의 원형: 삼위일체, 새로운 통합 = 97
이원성에서 삼원성으로의 합(合) = 98
의식으로의 도약, 고유한 전체주의로서의 3 = 101
영웅으로서의 3: 나아갈 방향과 목적에 대한 역동적인 힘 = 104
창조성와 성장, 초월 기능으로서의 3 = 106
자아의 확장으로서의 3 = 109
상대적 전체성으로서의 3 = 111
3은 부분보다 많은 전체로서의 네 번째를 부른다 = 112
요약 = 114
제6장 4의 원형: 자기실현으로서의 사위일체 = 119
여성성 혹은 어머니, 실현으로서의 4 = 121
전체성을 향한 분화와 구조의 적용 = 125
제한에 대한 투쟁 = 129
1의 실현 = 131
의식 기능에서의 數 4 = 132
연금술적 변형으로서의 4 = 134
충분히 이해하기 = 136
요약 = 138
제7장 5의 원형: 본질, 자각, 재생 = 141
네 개의 기본 방위점과 다섯 번째의 중앙점으로 상징되는 십자가 = 142
별표: 세계와 자기와의 관계 = 145
생명을 주다 = 147
5는 그 자체로서 전체의 재생을 나타낸다 = 150
자기 자신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헌신 = 153
영웅의 탄생: 관점과 관용 간의 투쟁 = 156
5의 어두운 면: 악마와 악마를 물리침 = 157
본질로서의 5 : 4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통일성 = 160
요약 = 162
제8장 6의 원형: 대극의 합일과 통합 = 165
6선 별모양: 상반된 세계의 반영 = 166
신성한 결혼과 '나 - 너'와의 관계 = 167
개방적이기보다는 규범적인 6 = 169
육각 별모양 안에 있는 생산적이고 조화로운 구조와 질서 = 169
잠재적 투쟁과 통합으로서의 6 = 172
사회, 질서, 목표를 통한 개인과 우주와의 통합 = 175
대극의 합일인 6 = 176
요약 = 179
제9장 7의 원형: 지혜로 가는 입문 = 181
정신에서 물질로 가는 분위기: 3+4 = 182
동정녀로서의 數 7 = 184
진동으로 나타나는 변화의 일곱 가지 길 = 186
정신의 직접적인 경험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의 무지개 = 190
내적인 변화로서의 數 7, 어둠으로의 여정 = 193
요구 = 195
지하세계로의 이동 = 196
정화작용으로사의 數 7 = 199
귀환 = 202
요약 = 204
제10장 8의 원형: 4의 행운과 길조의 두배 = 209
4의 두 배 = 210
어머니의 양면성 = 212
영혼의 복귀와 물질에서의 해방이라는 의미의 8 = 219
개인적인 현실의 재구성 = 223
신의 계획에의 참여 = 226
요약 = 231
제11장 9의 원형: 마지막 신성한 數 = 235
마지막 數 및 전체적인 아홉 면을 상징하는 9 = 236
죽음 = 237
모든 표현이 하나로 돌아가는 것을 상징하는 9 = 239
생사(生死) 사이의 과도기 상태 = 247
탄생과 임신을 나타내는 9 = 251
미로를 상징하는 9 = 253
불멸성을 상징하는 9 = 255
여자 노파 및 성숙한 아니마를 상징하는 9 = 256
요약 = 260
제2부
제12장 에릭슨의 심리발달체계와 비교해 본 1부터 9까지의 數 체계 = 265
1부터 9까지 진화론적 개관 = 267
에릭슨의 발달모델과 數와의 상관성 = 268
제13장 다양성 안의 통일성: 數 원형에 관련된 동양의 동시적 접근 = 273
모래놀이에서 각각의 數로 나타나는 자기(Self) = 275
주제와 변화 = 277
數를 통한 창조와 변형 = 277
數를 통해 나타나는 관심의 주제 = 279
數를 통해 나타나는 사랑의 주제 = 280
數에 따른 감정 상태 = 281
제14장 數와 십우도 = 285
발달적 관점 - 외향성 = 286
동시적 관점 - 내향성 = 287
제15장 數 원형의 정적인 측면 또는 역동적 측면 = 305
요약 = 308
제16장 전이문제에 대한 지침으로서의 數 원형 = 309
제17장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 자료 이용하기 = 317
각 사례에 대해 개별화하여 분석하기 = 318
제3부
제18장 數 놀이 = 325
1. 개관: 일반적인 지침
2. 數 요약
3. 실습
부록 : 인생행로의 數 = 393
용어풀이 = 439
참고문헌 = 444
그림목록 = 451
찾아보기 = 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