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일러두기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1
개요 = 1
불교의 대중화와 교학발전의 토대 = 3
교�의 발전과 심화 = 11
선문의 형성 = 30
Ⅰ부 삼국시대의 불교사상
1 삼국의 불교 전래와 수용과정 = 39
고구려불교 = 39
백제의불교 = 43
신라의불교 = 45
2 삼국시대 불교의 형성과 발전 = 55
승랑: 한국 교학불교의 사작, 삼론종의 개창 = 55
겸익: 인도 계율학의 수용과 발전 = 59
원광: 호국불교의 정립 = 61
자장: 계단의 형성 = 66
Ⅱ부 통일신라의 불교사상
3 화엄학의 전개 = 73
원효: 대승교학의 집대성 = 73
의상: 화엄학의 수용과 발전 = 120
의적 = 145
표원 = 155
명효 = 166
견등지 = 180
4 유식학의 전개 = 191
원측: 유식학의 발전 = 191
신방 = 212
승장 = 218
둔륜 = 224
대현 = 229
5 정토신앙과 미륵사상의 전개 = 243
진표 = 243
법위 = 250
경흥 = 264
현일 = 274
6 밀교의 전개 = 281
명량 = 281
혜초 = 285
불가사의 = 292
7 선종의 전래와 구산산문의 성립 = 299
참고문헌 = 325
찾아보기 = 333
발간사 = 343
일러두기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1
개요 = 1
불교의 대중화와 교학발전의 토대 = 3
교�의 발전과 심화 = 11
선문의 형성 = 30
Ⅰ부 삼국시대의 불교사상
1 삼국의 불교 전래와 수용과정 = 39
고구려불교 = 39
백제의불교 = 43
신라의불교 = 45
2 삼국시대 불교의 형성과 발전 = 55
승랑: 한국 교학불교의 사작, 삼론종의 개창 = 55
겸익: 인도 계율학의 수용과 발전 = 59
원광: 호국불교의 정립 = 61
자장: 계단의 형성 = 66
Ⅱ부 통일신라의 불교사상
3 화엄학의 전개 = 73
원효: 대승교학의 집대성 = 73
의상: 화엄학의 수용과 발전 = 120
의적 = 145
표원 = 155
명효 = 166
견등지 = 180
4 유식학의 전개 = 191
원측: 유식학의 발전 = 191
신방 = 212
승장 = 218
둔륜 = 224
대현 = 229
5 정토신앙과 미륵사상의 전개 = 243
진표 = 243
법위 = 250
경흥 = 264
현일 = 274
6 밀교의 전개 = 281
명량 = 281
혜초 = 285
불가사의 = 292
7 선종의 전래와 구산산문의 성립 = 299
참고문헌 = 325
찾아보기 = 333
발간사 =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