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서문 = 3
저자서문 = 5
1장 자연체계이론을 향하여 = 15
1. Bowen의 초기 연구 = 16
2. 단위로서의 가족 = 18
3. 기능의 연속선 = 24
4. 체계사고의 역사적 발전 = 27
5. 인간행동에 대한 주관성과 개념화 = 31
6. 모든 생명체의 일부로서의 인간 = 35
7. Bowen이론과 자연체계 = 38
2장 정서체계 = 43
1. 정서체계, 감정체계 그리고 지적체계 = 46
1) 삼위일체 뇌 = 50
2. 자연의 정서체계 = 56
1) 하등동물의 정서체계 = 57
2) 이론적 논쟁들 = 62
3) 가족체계이론과 사회생물학 = 67
3. 자연의 평형력 = 72
4. 인간가족의 정서체계 = 75
3장 개별성과 연합성 = 81
1. 사회적 연속선상에서의 인간의 위치 = 84
2. 이자관계의 균형 = 87
3. 관계균형의 다양성 = 91
4. 관계균형의 유연성 = 95
5. 불안과 증상 발달의 적응 = 103
4장 자기분화 = 115
1. 진화적 맥락에서의 분화 = 115
2. 분화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 요인들 = 121
3. 분화척도 = 124
4. 자기정의하기 = 136
5장 만성불안 = 143
1. 불안에 대한 정의 = 143
2. 개인차 = 146
3. 분화와 만성불안의 관계 = 148
4. 불안유발 = 151
5. 불안과 연합력 = 153
6. 불안교정을 위한 치료적 접근 = 159
6장 삼각관계 = 167
1. 삼각관계의 기본과정 = 168
2. 상호 맞물린 삼각관계 = 173
3. 삼각관계와 기능적 지위 = 176
4. 하등동물의 삼각관계 = 178
5. 삼각관계와 증상발달 = 180
6. 탈삼각관계 = 185
7장 핵가족 정서체계 = 201
1. 배우자의 역기능 = 208
2. 부부갈등 = 233
3. 자녀들의 장애 = 242
8장 다세대 정서과정 = 277
1. 다세대 정서과정의 결과 = 293
2. 이론 및 치료적 함의 = 309
9장 증상발달 = 315
1. 질병에 관한 체계모델 = 317
2. 증상발달에 있어서의 가족체계 변인들 = 324
3. 임상사례 = 342
10장 가족평가 = 349
1. 가족평가 면담 = 354
2. 가족평가 면담양식 = 359
1) 호소력 = 359
2) 핵가족력 = 362
3) 확대가족력 = 369
3. 가족도 = 376
4. 자료 해석(가족진단) = 384
1) 증상이 있는 가족원 = 384
2) 형제지위 = 385
3) 핵가족의 정서과정 = 388
4) 스트레스원 = 390
5) 감정반응 = 391
6) 핵가족의 적응력 = 392
7) 확대가족의 안정성과 보존성 = 395
8) 정서적 단절 = 396
9) 치료적 초점 = 398
10) 예후 = 403
5. 결론 = 407
에필로그 = 415
참고문헌 = 473
역자서문 = 3
저자서문 = 5
1장 자연체계이론을 향하여 = 15
1. Bowen의 초기 연구 = 16
2. 단위로서의 가족 = 18
3. 기능의 연속선 = 24
4. 체계사고의 역사적 발전 = 27
5. 인간행동에 대한 주관성과 개념화 = 31
6. 모든 생명체의 일부로서의 인간 = 35
7. Bowen이론과 자연체계 = 38
2장 정서체계 = 43
1. 정서체계, 감정체계 그리고 지적체계 = 46
1) 삼위일체 뇌 = 50
2. 자연의 정서체계 = 56
1) 하등동물의 정서체계 = 57
2) 이론적 논쟁들 = 62
3) 가족체계이론과 사회생물학 = 67
3. 자연의 평형력 = 72
4. 인간가족의 정서체계 = 75
3장 개별성과 연합성 = 81
1. 사회적 연속선상에서의 인간의 위치 = 84
2. 이자관계의 균형 = 87
3. 관계균형의 다양성 = 91
4. 관계균형의 유연성 = 95
5. 불안과 증상 발달의 적응 = 103
4장 자기분화 = 115
1. 진화적 맥락에서의 분화 = 115
2. 분화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 요인들 = 121
3. 분화척도 = 124
4. 자기정의하기 = 136
5장 만성불안 = 143
1. 불안에 대한 정의 = 143
2. 개인차 = 146
3. 분화와 만성불안의 관계 = 148
4. 불안유발 = 151
5. 불안과 연합력 = 153
6. 불안교정을 위한 치료적 접근 = 159
6장 삼각관계 = 167
1. 삼각관계의 기본과정 = 168
2. 상호 맞물린 삼각관계 = 173
3. 삼각관계와 기능적 지위 = 176
4. 하등동물의 삼각관계 = 178
5. 삼각관계와 증상발달 = 180
6. 탈삼각관계 = 185
7장 핵가족 정서체계 = 201
1. 배우자의 역기능 = 208
2. 부부갈등 = 233
3. 자녀들의 장애 = 242
8장 다세대 정서과정 = 277
1. 다세대 정서과정의 결과 = 293
2. 이론 및 치료적 함의 = 309
9장 증상발달 = 315
1. 질병에 관한 체계모델 = 317
2. 증상발달에 있어서의 가족체계 변인들 = 324
3. 임상사례 = 342
10장 가족평가 = 349
1. 가족평가 면담 = 354
2. 가족평가 면담양식 = 359
1) 호소력 = 359
2) 핵가족력 = 362
3) 확대가족력 = 369
3. 가족도 = 376
4. 자료 해석(가족진단) = 384
1) 증상이 있는 가족원 = 384
2) 형제지위 = 385
3) 핵가족의 정서과정 = 388
4) 스트레스원 = 390
5) 감정반응 = 391
6) 핵가족의 적응력 = 392
7) 확대가족의 안정성과 보존성 = 395
8) 정서적 단절 = 396
9) 치료적 초점 = 398
10) 예후 = 403
5. 결론 = 407
에필로그 = 415
참고문헌 = 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