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21세기의 진로상담 = 15
제1장 진로상담 : 전생애적 관점 = 17
Ⅰ. 진로상담 = 18
Ⅱ. 생애진로발달 : 총체적인 조망 = 24
Ⅲ. 진로상담에 대한 함의 = 29
Ⅳ. 맺음말 = 31
제2장 직장과 가족생활에서의 변화 = 33
Ⅰ. 직장과 가족생활에서의 변화 = 34
Ⅱ. 직장과 가족생활의 변화 : 도전과 결과 = 37
Ⅲ. 진로상담을 통해 직장과 가족생활의 문제에 대응하기 = 42
Ⅳ. 상담자 역할에 대한 체크리스트 = 48
Ⅴ. 맺음말 = 49
제3장 문화적 맥락에서의 진로상담 = 51
Ⅰ. 용어의 정의 = 51
Ⅱ. 진로발달 분야의 탄생 = 53
Ⅲ. 인구통계학적, 윤리적 의무 = 59
Ⅳ. 개인차 변인 : 세계관, 문화적응, 인종적 정체감 발달 = 62
Ⅴ. 문화라는 렌즈를 통해서 본 진로상담과정 = 70
제4장 여성을 위한 진로상담 = 77
Ⅰ. 성별 맥락의 주요양상 : 아동기의 성역할 사회화 = 78
Ⅱ. 청소년기의 성별 맥락 = 79
Ⅲ. 직장에서의 성별 맥락 = 82
Ⅳ. 성적 맥락에 따른 구체적 결과 = 84
Ⅴ. 여성의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는 평가도구와 기법들 = 90
Ⅵ. 진로상담과정 : 상담과정에 성 관련 문제 포함시키기 = 106
제5장 남성을 위한 진로상담 = 113
Ⅰ. 아동기의 성역할 사회화 = 115
Ⅱ. 청소년기의 성별 맥락 = 115
Ⅲ. 직장에서의 성별 맥락 = 117
Ⅳ. 전통적인 남성 내담자를 위한 상담자의 역할 = 119
Ⅴ. 성별 맥락에 따른 구체적 결과 = 120
Ⅵ. 진로상담과정 : 상담과정 속에서 성별 이슈 다루기 = 130
제6장 장애인을 위한 진로상담 = 139
Ⅰ. 장애인의 고용 및 진로 상황 = 140
Ⅱ. 장애인이 직면하는 구체적인 어려움 = 140
Ⅲ. 장애인을 위한 진로상담의 권리강화 접근방법 = 143
Ⅳ. 장애인에게 진로상담 구조 적용하기 = 146
Ⅴ. 맺음말 = 152
제2부 진로상담의 시작과 내담자 정보수집 = 155
제7장 진로상담의 시작 : 상담협력관계 형성 = 157
Ⅰ. 상담협력관계 = 157
Ⅱ. 성공적인 상담협력관계 형성하기 = 160
Ⅲ. 상담협력관계 형성에 관한 상담자의 체크리스트 = 163
제8장 생애진로탐색 : 내담자 정보수집을 위한 구조화된 면접 = 171
Ⅰ. 이론적 근거 = 172
Ⅱ. LCA 구조 = 176
Ⅲ. 유의사항 = 197
Ⅳ. 맺음말 = 201
제9장 진로가계도의 활용 = 203
Ⅰ. 이론적 기반 = 204
Ⅱ. 진로가계도 활용 절차 = 205
Ⅲ. 진로가계도에 대한 논의 = 211
Ⅳ. 진로가계도의 또 다른 활용 = 214
Ⅴ. 맺음말 = 217
제10장 직업카드의 활용 = 219
Ⅰ. 직업카드 분류 = 220
Ⅱ. 탄야의 사례 = 225
Ⅲ. 미조리 직업카드 분류 = 227
Ⅳ. 맺음말 = 240
제11장 표준화 검사의 활용 = 245
Ⅰ. 적합한 표준화 검사의 선정 = 245
Ⅱ. 평가도구 선택기준 = 247
Ⅲ. 기본적인 진로검사 배터리 = 253
Ⅳ. 검사자료 통합하기 = 261
Ⅴ. 요약 = 274
제12장 진로전환검사의 활용 = 275
Ⅰ. 진로전환검사 = 278
Ⅱ. CTI 점수의 해석과 활용 = 280
Ⅲ. 사례에 적용하기 = 294
제3부 내담자 정보의 해석과 가설 설정 = 299
제13장 생애진로주제 규명 및 분석 = 301
Ⅰ. 생애진로주제 : 어떻게 규명하고 분석할 것인가 = 303
Ⅱ. 해석 : 주제분석에 필요한 기술 = 307
Ⅲ. 시험가설 형성 : 주제 분석에 필요한 또 다른 기술 = 308
Ⅳ. 선택된 모델에 대한 설명 = 310
Ⅴ. 근로자 역할 정체성 모델들의 조합 = 323
Ⅵ. 주제 규명 연습 = 328
Ⅶ. 맺음말 = 334
제14장 내담자의 저항 다루기 = 335
Ⅰ. 저항의 인식 : 몇 가지 사례들 = 338
Ⅱ. 내담자의 저항 다루기 = 349
Ⅲ. 상담자의 저항 = 361
Ⅳ. 맺음말 = 362
제4부 정보의 활용과 행동계획 수립 및 종결 = 365
제15장 진로정보의 활용 = 367
Ⅰ. 정보에 대한 내담자의 필요를 확인하기 = 368
Ⅱ. 인식의 관점에서 본 진로정보의 필요성 = 371
Ⅲ. 상담자의 관점에서 본 진로정보의 필요성 = 371
Ⅳ. 진로정보를 제공하는 목적 = 373
Ⅴ. 진로정보를 활용하는 시기 = 375
Ⅵ. 정보에 대한 필요성을 평가하는 과정 돕기 = 378
Ⅶ. 어느 정도의 정보가 유용할 것인가를 정하기 = 378
Ⅷ. 진로정보의 출처 = 379
제16장 진로목표와 행동계획 세우기 = 389
Ⅰ. 내담자들은 진로상담을 통해서 무엇을 얻는가 = 390
Ⅱ. 진로목표와 행동계획의 정의 = 391
Ⅲ. 계획 세우기의 기초 = 392
Ⅳ. 진로목표와 행동계획의 준거 = 394
Ⅴ. 진로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들 = 397
제17장 진로상담의 종결 = 401
Ⅰ. 종결의 맥락 = 402
Ⅱ. 조기종결의 특별한 경우 = 405
Ⅲ. 종결과 관련된 느낌들 = 407
Ⅳ. 효과적인 종결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 409
참고문헌 = 416
찾아보기 = 442
제1부 21세기의 진로상담 = 15
제1장 진로상담 : 전생애적 관점 = 17
Ⅰ. 진로상담 = 18
Ⅱ. 생애진로발달 : 총체적인 조망 = 24
Ⅲ. 진로상담에 대한 함의 = 29
Ⅳ. 맺음말 = 31
제2장 직장과 가족생활에서의 변화 = 33
Ⅰ. 직장과 가족생활에서의 변화 = 34
Ⅱ. 직장과 가족생활의 변화 : 도전과 결과 = 37
Ⅲ. 진로상담을 통해 직장과 가족생활의 문제에 대응하기 = 42
Ⅳ. 상담자 역할에 대한 체크리스트 = 48
Ⅴ. 맺음말 = 49
제3장 문화적 맥락에서의 진로상담 = 51
Ⅰ. 용어의 정의 = 51
Ⅱ. 진로발달 분야의 탄생 = 53
Ⅲ. 인구통계학적, 윤리적 의무 = 59
Ⅳ. 개인차 변인 : 세계관, 문화적응, 인종적 정체감 발달 = 62
Ⅴ. 문화라는 렌즈를 통해서 본 진로상담과정 = 70
제4장 여성을 위한 진로상담 = 77
Ⅰ. 성별 맥락의 주요양상 : 아동기의 성역할 사회화 = 78
Ⅱ. 청소년기의 성별 맥락 = 79
Ⅲ. 직장에서의 성별 맥락 = 82
Ⅳ. 성적 맥락에 따른 구체적 결과 = 84
Ⅴ. 여성의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는 평가도구와 기법들 = 90
Ⅵ. 진로상담과정 : 상담과정에 성 관련 문제 포함시키기 = 106
제5장 남성을 위한 진로상담 = 113
Ⅰ. 아동기의 성역할 사회화 = 115
Ⅱ. 청소년기의 성별 맥락 = 115
Ⅲ. 직장에서의 성별 맥락 = 117
Ⅳ. 전통적인 남성 내담자를 위한 상담자의 역할 = 119
Ⅴ. 성별 맥락에 따른 구체적 결과 = 120
Ⅵ. 진로상담과정 : 상담과정 속에서 성별 이슈 다루기 = 130
제6장 장애인을 위한 진로상담 = 139
Ⅰ. 장애인의 고용 및 진로 상황 = 140
Ⅱ. 장애인이 직면하는 구체적인 어려움 = 140
Ⅲ. 장애인을 위한 진로상담의 권리강화 접근방법 = 143
Ⅳ. 장애인에게 진로상담 구조 적용하기 = 146
Ⅴ. 맺음말 = 152
제2부 진로상담의 시작과 내담자 정보수집 = 155
제7장 진로상담의 시작 : 상담협력관계 형성 = 157
Ⅰ. 상담협력관계 = 157
Ⅱ. 성공적인 상담협력관계 형성하기 = 160
Ⅲ. 상담협력관계 형성에 관한 상담자의 체크리스트 = 163
제8장 생애진로탐색 : 내담자 정보수집을 위한 구조화된 면접 = 171
Ⅰ. 이론적 근거 = 172
Ⅱ. LCA 구조 = 176
Ⅲ. 유의사항 = 197
Ⅳ. 맺음말 = 201
제9장 진로가계도의 활용 = 203
Ⅰ. 이론적 기반 = 204
Ⅱ. 진로가계도 활용 절차 = 205
Ⅲ. 진로가계도에 대한 논의 = 211
Ⅳ. 진로가계도의 또 다른 활용 = 214
Ⅴ. 맺음말 = 217
제10장 직업카드의 활용 = 219
Ⅰ. 직업카드 분류 = 220
Ⅱ. 탄야의 사례 = 225
Ⅲ. 미조리 직업카드 분류 = 227
Ⅳ. 맺음말 = 240
제11장 표준화 검사의 활용 = 245
Ⅰ. 적합한 표준화 검사의 선정 = 245
Ⅱ. 평가도구 선택기준 = 247
Ⅲ. 기본적인 진로검사 배터리 = 253
Ⅳ. 검사자료 통합하기 = 261
Ⅴ. 요약 = 274
제12장 진로전환검사의 활용 = 275
Ⅰ. 진로전환검사 = 278
Ⅱ. CTI 점수의 해석과 활용 = 280
Ⅲ. 사례에 적용하기 = 294
제3부 내담자 정보의 해석과 가설 설정 = 299
제13장 생애진로주제 규명 및 분석 = 301
Ⅰ. 생애진로주제 : 어떻게 규명하고 분석할 것인가 = 303
Ⅱ. 해석 : 주제분석에 필요한 기술 = 307
Ⅲ. 시험가설 형성 : 주제 분석에 필요한 또 다른 기술 = 308
Ⅳ. 선택된 모델에 대한 설명 = 310
Ⅴ. 근로자 역할 정체성 모델들의 조합 = 323
Ⅵ. 주제 규명 연습 = 328
Ⅶ. 맺음말 = 334
제14장 내담자의 저항 다루기 = 335
Ⅰ. 저항의 인식 : 몇 가지 사례들 = 338
Ⅱ. 내담자의 저항 다루기 = 349
Ⅲ. 상담자의 저항 = 361
Ⅳ. 맺음말 = 362
제4부 정보의 활용과 행동계획 수립 및 종결 = 365
제15장 진로정보의 활용 = 367
Ⅰ. 정보에 대한 내담자의 필요를 확인하기 = 368
Ⅱ. 인식의 관점에서 본 진로정보의 필요성 = 371
Ⅲ. 상담자의 관점에서 본 진로정보의 필요성 = 371
Ⅳ. 진로정보를 제공하는 목적 = 373
Ⅴ. 진로정보를 활용하는 시기 = 375
Ⅵ. 정보에 대한 필요성을 평가하는 과정 돕기 = 378
Ⅶ. 어느 정도의 정보가 유용할 것인가를 정하기 = 378
Ⅷ. 진로정보의 출처 = 379
제16장 진로목표와 행동계획 세우기 = 389
Ⅰ. 내담자들은 진로상담을 통해서 무엇을 얻는가 = 390
Ⅱ. 진로목표와 행동계획의 정의 = 391
Ⅲ. 계획 세우기의 기초 = 392
Ⅳ. 진로목표와 행동계획의 준거 = 394
Ⅴ. 진로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들 = 397
제17장 진로상담의 종결 = 401
Ⅰ. 종결의 맥락 = 402
Ⅱ. 조기종결의 특별한 경우 = 405
Ⅲ. 종결과 관련된 느낌들 = 407
Ⅳ. 효과적인 종결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 409
참고문헌 = 416
찾아보기 =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