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집단상담에 대한 소개 = 1
1. 집단상담의 증가 = 1
2. 이 책에 관하여 = 3
3. 집단상담에 대한 개관 = 5
4. 집단의 유형 = 9
5. 다문화적 맥락에서의 집단상담 = 15
제2장 집단상담의 윤리 = 29
1. 집단 참가자의 권리 = 30
2. 집단에서의 심리적 위험 = 37
3. 집단리더의 행동 윤리 = 39
4. 집단상담자의 자격 = 48
제3장 집단 지도력 = 59
1. 한 인간으로서의 집단상담자 = 59
2. 초심 집단상담자가 당면하는 문제점들 = 64
3. 전문가로서의 집단상담자 = 70
4. 공동상담자 집단 = 87
5. 집단 지도력의 발달 = 89
제4장 집단상담의 초기단계 = 93
1. 상담 고려사항 - 집단의 형성 = 94
2. 단계1 : 시작단계 - 오리엔테이션과 탐색 = 105
3. 단계2 : 전화단계 - 저항 다루기 = 114
4. 결론 = 122
제5장 집단상담의 후기단계 = 123
1. 단계3 : 작업단계 - 응집력과 생산성 = 123
2. 단계4 : 마무리단계 - 통합과 종결 = 138
3. 상담후 고려사항 : 추후면담과 평가 = 143
4. 결론 = 147
5. 참고문헌 = 147
제6장 정신분석 학파의 집단상담 = 159
1. 서론 = 159
2. 중요개념 = 162
3. 기본 기법 = 171
4.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 179
5. 발달단계와 집단상담에의 적용 = 180
6. 정신분석 집단 이론의 최근 경향 = 194
7. 정신분석의 평가 = 200
8. 지금부터 = 205
9. 추천도서 = 205
10. 참고문헌 = 206
제7장 아들러 학파의 집단상담 = 211
1. 서론 = 211
2. 중요개념 = 212
3. 집단상담에 아들러 학파 원리의 적용 = 218
4. 아들러 학파의 집단 상담의 단계 = 219
5. 아들러 학파 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 224
6. 아들러 학파 집단상담에 대한 평가 = 225
7. 지금부터 = 229
8. 추천도서 = 231
9. 참고문헌 = 231
제8장 심리극 = 235
1. 서론 = 235
2. 중요 개념 = 236
3. 심리극 방법의 기본 요소들 = 241
4. 심리극 과정의 단계들 = 246
5. 심리극의 기법들 = 253
6. 심리극의 평가 = 260
7. 지금부터 = 265
8. 추천도서 = 266
9. 참고문헌 = 267
제9장 실존주의 집단상담 = 271
1. 서론 = 271
2. 중요 개념 = 273
3.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 290
4. 실존치료의 평가 = 292
5. 지금부터 = 297
6. 추천도서 = 298
7. 참고문헌 = 299
제10장 인간중심 집단상담 = 303
1. 서론 = 303
2. 중요 개념 = 307
3. 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 317
4. 인간중심 집단상담의 과정 = 320
5. 인간중심 집단에 대한 평가 = 324
6. 지금부터 = 330
7. 추천도서 = 332
8. 참고문헌 = 332
제11장 게슈탈트 집단치료 = 337
1. 서론 = 337
2. 중요 개념 = 338
3. 집단 지도자의 역할과 기능 = 348
4. 적용과 기법 = 350
5. 게슈탈트 접근에 대한 평가 = 366
6. 지금부터 = 370
7. 추천도서 = 371
8. 참고문헌 = 372
제12장 의사교류분석 집단상담 = 375
1. 서론 = 375
2. 중요개념 = 378
3. 집단 리더의 역할 = 388
4. 치료 절차와 기법 = 388
5. 의사교류분석에 대한 평가 = 392
6. 지금부터 = 395
7. 추천도서 = 396
8. 참고문헌 = 397
제13장 행동주의 집단치료 = 399
1. 서론 = 399
2. 주요개념 = 400
3. 집단상담자의 역할 = 403
4. 행동주의 집단상담의 단계 = 405
5. 적용과 기법 = 413
6. 행동주의 집단상담에 대한 평가 = 426
7. 지금부터 = 433
8. 추천도서 = 433
9. 참고문헌 = 435
제14장 합리·정서·행동치료 = 441
1. 서론 = 441
2. 중요개념 = 442
3. 집단에서 REBT의 적합성 = 447
4. 집단리더의 역할과 기능 = 450
5. 치료적 기법과 절차 = 452
6. 합리·정서·행동치료의 평가 = 461
7. 지금부터 = 466
8. 추천도서 = 469
9. 참고문헌 = 469
제15장 현실집단치료 = 475
1. 서론 = 475
2. 중요 개념 = 476
3.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 481
4. 현실집단치료의 실제 = 482
5. 현실치료의 평가 = 498
6. 지금부터 = 506
7. 추천도서 = 506
8. 참고문헌 = 507
제16장 접근별 집단상담 실제 = 511
1. 모델 집단 = 511
2. 중요 주제들 = 512
3. 주제1 : 목표설정 = 512
4. 주제2 : 신뢰의 형성과 유지 = 515
5. 주제3 : 두려움과 저항 = 517
6. 주제4 : 외로움과 고독 = 520
7. 주제5 : 의존 - 독립 갈등 = 522
8. 주제6 : 친밀의 두려움 = 524
9. 주제7 : 우울감 = 527
10. 주제8 : 삶의 의미 = 530
11. 주제9 : 가치관 명료화 = 534
12. 주제10 : 집단의 종결 = 537
제17장 비교, 대조, 통합 = 545
1. 집단상담의 목표 = 546
2.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 546
3. 구조화 정도와 책임의 소재 = 548
4. 기법의 사용 = 550
5. 중다문화에서의 집단 상담 = 552
6. 절충적 통합 모형 = 553
7. 요약과 복습 = 563
찾아보기 = 571
제1장 집단상담에 대한 소개 = 1
1. 집단상담의 증가 = 1
2. 이 책에 관하여 = 3
3. 집단상담에 대한 개관 = 5
4. 집단의 유형 = 9
5. 다문화적 맥락에서의 집단상담 = 15
제2장 집단상담의 윤리 = 29
1. 집단 참가자의 권리 = 30
2. 집단에서의 심리적 위험 = 37
3. 집단리더의 행동 윤리 = 39
4. 집단상담자의 자격 = 48
제3장 집단 지도력 = 59
1. 한 인간으로서의 집단상담자 = 59
2. 초심 집단상담자가 당면하는 문제점들 = 64
3. 전문가로서의 집단상담자 = 70
4. 공동상담자 집단 = 87
5. 집단 지도력의 발달 = 89
제4장 집단상담의 초기단계 = 93
1. 상담 고려사항 - 집단의 형성 = 94
2. 단계1 : 시작단계 - 오리엔테이션과 탐색 = 105
3. 단계2 : 전화단계 - 저항 다루기 = 114
4. 결론 = 122
제5장 집단상담의 후기단계 = 123
1. 단계3 : 작업단계 - 응집력과 생산성 = 123
2. 단계4 : 마무리단계 - 통합과 종결 = 138
3. 상담후 고려사항 : 추후면담과 평가 = 143
4. 결론 = 147
5. 참고문헌 = 147
제6장 정신분석 학파의 집단상담 = 159
1. 서론 = 159
2. 중요개념 = 162
3. 기본 기법 = 171
4.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 179
5. 발달단계와 집단상담에의 적용 = 180
6. 정신분석 집단 이론의 최근 경향 = 194
7. 정신분석의 평가 = 200
8. 지금부터 = 205
9. 추천도서 = 205
10. 참고문헌 = 206
제7장 아들러 학파의 집단상담 = 211
1. 서론 = 211
2. 중요개념 = 212
3. 집단상담에 아들러 학파 원리의 적용 = 218
4. 아들러 학파의 집단 상담의 단계 = 219
5. 아들러 학파 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 224
6. 아들러 학파 집단상담에 대한 평가 = 225
7. 지금부터 = 229
8. 추천도서 = 231
9. 참고문헌 = 231
제8장 심리극 = 235
1. 서론 = 235
2. 중요 개념 = 236
3. 심리극 방법의 기본 요소들 = 241
4. 심리극 과정의 단계들 = 246
5. 심리극의 기법들 = 253
6. 심리극의 평가 = 260
7. 지금부터 = 265
8. 추천도서 = 266
9. 참고문헌 = 267
제9장 실존주의 집단상담 = 271
1. 서론 = 271
2. 중요 개념 = 273
3.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 290
4. 실존치료의 평가 = 292
5. 지금부터 = 297
6. 추천도서 = 298
7. 참고문헌 = 299
제10장 인간중심 집단상담 = 303
1. 서론 = 303
2. 중요 개념 = 307
3. 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 317
4. 인간중심 집단상담의 과정 = 320
5. 인간중심 집단에 대한 평가 = 324
6. 지금부터 = 330
7. 추천도서 = 332
8. 참고문헌 = 332
제11장 게슈탈트 집단치료 = 337
1. 서론 = 337
2. 중요 개념 = 338
3. 집단 지도자의 역할과 기능 = 348
4. 적용과 기법 = 350
5. 게슈탈트 접근에 대한 평가 = 366
6. 지금부터 = 370
7. 추천도서 = 371
8. 참고문헌 = 372
제12장 의사교류분석 집단상담 = 375
1. 서론 = 375
2. 중요개념 = 378
3. 집단 리더의 역할 = 388
4. 치료 절차와 기법 = 388
5. 의사교류분석에 대한 평가 = 392
6. 지금부터 = 395
7. 추천도서 = 396
8. 참고문헌 = 397
제13장 행동주의 집단치료 = 399
1. 서론 = 399
2. 주요개념 = 400
3. 집단상담자의 역할 = 403
4. 행동주의 집단상담의 단계 = 405
5. 적용과 기법 = 413
6. 행동주의 집단상담에 대한 평가 = 426
7. 지금부터 = 433
8. 추천도서 = 433
9. 참고문헌 = 435
제14장 합리·정서·행동치료 = 441
1. 서론 = 441
2. 중요개념 = 442
3. 집단에서 REBT의 적합성 = 447
4. 집단리더의 역할과 기능 = 450
5. 치료적 기법과 절차 = 452
6. 합리·정서·행동치료의 평가 = 461
7. 지금부터 = 466
8. 추천도서 = 469
9. 참고문헌 = 469
제15장 현실집단치료 = 475
1. 서론 = 475
2. 중요 개념 = 476
3.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 481
4. 현실집단치료의 실제 = 482
5. 현실치료의 평가 = 498
6. 지금부터 = 506
7. 추천도서 = 506
8. 참고문헌 = 507
제16장 접근별 집단상담 실제 = 511
1. 모델 집단 = 511
2. 중요 주제들 = 512
3. 주제1 : 목표설정 = 512
4. 주제2 : 신뢰의 형성과 유지 = 515
5. 주제3 : 두려움과 저항 = 517
6. 주제4 : 외로움과 고독 = 520
7. 주제5 : 의존 - 독립 갈등 = 522
8. 주제6 : 친밀의 두려움 = 524
9. 주제7 : 우울감 = 527
10. 주제8 : 삶의 의미 = 530
11. 주제9 : 가치관 명료화 = 534
12. 주제10 : 집단의 종결 = 537
제17장 비교, 대조, 통합 = 545
1. 집단상담의 목표 = 546
2.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 546
3. 구조화 정도와 책임의 소재 = 548
4. 기법의 사용 = 550
5. 중다문화에서의 집단 상담 = 552
6. 절충적 통합 모형 = 553
7. 요약과 복습 = 563
찾아보기 = 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