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과거 영국의 세기와 미국의 세기를 지나 바야흐로 21세기 태평양의 세기가 도래하였다. 이러한 시대 흐름에 따라 동아시아는 21세기 세계경제의 중심축으로 부상하면서 무역, 생산, 금융, 환경,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상호연계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 기반하여 동아시아 협력과 공동체 건설을 위한 기본적 개념과 모델, 그리고 상호협력의 사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제1부는 동아시아 공동체를 설명하기 위한 기본개념과 모델에 대해 논의한다. 왜 동아시아 공동체를 위해 국가주의적 갈등을 넘어서야 하는지, 동아시아 공동체의 공통적인 발전모델 개념은 존재하는지,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존재 및 특성은 무엇인지 다루었다. 제2부는 동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실질적 협력사례와 상호의존 증대 사례들을 소개한다. 동아시아 지역의 가족관계, 환경분야에서의 역내 협력상황, 동아시아 외교관계 증진을 위한 시민사회의 노력, 생산방식의 역내이전, 그리고 경제적 상호의존도 증대 등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