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남계집은 남계(南溪) 박세채(朴世采:1631~1695)의 시문집(詩文集)으로, 정집(正集) 87권 39책, 외집(外集) 16권 8책, 별집(別集) 22권 9책이 합본되어 총 125권 56책의 목판본이다.
박세채의 자(字)는 화숙(和叔), 호(號)는 현석(玄石) 또는 남계(南溪)로 만년에 파주(坡州)의 남계(南溪)에 살았으므로 붙여진 호이다. 성균관(成均館)에 있을 때인 1650년(효종 1)에 성균관 유생들이 율곡(栗谷), 우계(牛溪)를 문묘(文廟)에 종사(從祀)할 것을 청하였을 때 영남 사람 류직(柳稷) 등이 상소를 올려 양현(兩賢)을 욕되게 하였으므로 유생들을 이끌고 류직의 상소를 비판하다가 임금에게 꾸지람을 듣고 과거공부를 포기하고 은거하여 경학(經學)에만 전심하였다. 20세에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주로 성리학을 연구하였고, 송시열(宋時烈)과도 교류하였다. 훗날 서인(西人) 소론(少論)의 영수(嶺首)가 되었다. 일찌기 만언소(萬言疏)를 올려 수제치평(修齊治平)의 도를 극론하였고, 항상 붕당(朋黨)의 화가 망국(亡國)에 이른다 하여 황극탕평설(皇極蕩平說)을 주장하여 당쟁의 근절에 노력하였다. 특히 예학(禮學)에 밝았으며, 논어?맹자 찬요(纂要), 시(詩)의 요의(要義), 신라에서 조선에 이르는 유학자들의 사우(師友) 연원을 수록한 동유사우록(東儒師友錄)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남계집은 각 집(集)이 동시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지는 않으나 모두 서발(序跋)과 간기(刊記)가 없어 간행 경위와 간년은 모두 미상이다.
정집 1책은 목록이다. 2책의 권1~권4는 시(詩)로, 권1에는 과양경리호거사비(過楊經理鎬去思碑) 등 120수, 권2에는 (避려入城作) 등 172수, 권3에는 송양이입제협(送養而入堤峽) 등 159수, 권4에는 임술입춘일감회(壬戌立春日感懷) 등 151수의 시작품이 실려 있다. 권5~권15는 소(疏)로, 권5에는 사시강원진선소(辭侍講院進善疏), 사소명급사헌부집의소(辭召命及司憲府執義疏) 등 12편이, 권6에는 사인재방문소(辭因災訪問疏), 사이조참의소(辭吏曹參議疏), 지진정소(詣陳情疏) 등 15편이, 권7에는 정주경연고사(程朱經筵故事) 1편이, 권8에는 정주경연고사(程朱經筵故事) 1편이, 권9에는 정주경연고사(程朱經筵故事) 1편이, 권10에는 사관전유후사소명소(史官傳諭後辭召命疏). 지궐사빈청회의소(詣闕辭賓廳會議疏) 등 23편이, 권11에는 청의전정진강심경목소(請依前定進講心經目疏) 등 15편이, 권12에는 진시무만언소(陳時務萬言疏) 1편이, 권13에는 인우의정김석주차척청죄소(因右議政金錫?箚斥請罪疏) 등 12편이, 권14에는 부청추환직명겸청죄출소(復請追還職名兼請罪黜疏) 등 19편이, 권15에는 유사이조참판겸진저로기황소(由辭吏曹參判兼陳諸路饑荒疏) 등 23편이 실려 있다. 권16에는 임술희정당계차(壬戌熙政堂啓箚) 등 차(箚) 9편이, 권17~18은 연중강계(:筵中講啓)로 권17에는 임술(壬戌) 9월 21일 희정당인견(熙政堂引見)부터 계해(癸亥) 4월 10일 선정전화강(宣政殿畵講)까지 9편이, 권18에는 계해((癸亥) 4월 21일 희정당화강(熙政堂晝講)부터 무진(戊辰) 7월 3일 희정당인견(熙政堂引見)까지 9편이 실려 있다. 권19에는 인경왕후간제설행당부의(仁敬王后練祭設行當否議) 등 의(議) 17편이 실려 있다. 권20에는 유소비답사관전유후서계(留疏批答史官傳諭後書啓) 등 서계(書啓) 20편이 실려 있다. 권21~권36까지는 서(書)로, 권21에는 여이성암수인여홍상국명하(與李惺菴壽仁與洪相國命夏) 등 28편이, 권22에는 답장판서정지선서(答張判書靜之善書) 등 49편이, 권23에는 답송욱재(答宋尤齋) 등 33편이, 권24에는 여류판서유구별지(與柳判書悠久別紙) 등 53편이, 권25에는 상청음김선생(上淸陰金先生) 등 27편이, 권26에는 답조고양봉원(答趙高陽逢源) 등 27편이, 권27에는 여김문회(與金文會) 등 43편이, 권28에는 답이양이(答李養而) 등 26편이, 권29에는 재답윤자인(再答尹子仁) 등 35편이, 권30에는 답이하향(答李厦鄕?) 등 57편이, 권31에는 답최여화(答崔汝和) 등 36편이, 권32에는 답임덕함(答林德涵) 등 45편이, 권33 답임대년(答林大年) 등 60편이, 권34에는 답이운향(答李雲鄕) 등 58편이, 권35에는 답이옥여유재(答李玉汝惟材) 등 59편이, 권36에는 여박진사지상(與朴進士之相) 등 40편이 실려 있다. 이상 서(書)에는 모두 당시의 사리(事理)를 문답 논란한 것으로 보인다. 권37~권52는 문답(問答)으로, 권37에는 답민양호(答閔楊湖), 답송욱재(答宋尤齋), 답이진사근성(答李進士近晟) 등 17편으로 상례(喪禮). 제례(祭禮), 국휼례(國恤禮), 춘추(春秋), 맹자호연장(孟子浩然章), 성리설(性理說)에 대하여 문답하였다. 권38은 답최미백(答崔美伯) 등 12편으로 향음주례(鄕飮酒禮), 상례(喪禮), 제례(祭禮), 근사록(近思錄), 심경(心經), 중용(中庸) 등에 대하여 문답하였다. 권39은 답이여구(答李汝九) 등 6편으로 논어(論語), 상례(喪禮), 혼례(昏禮) 등에 대한 문답하였다. 권40은 답권치도(答權致道) 등 7편으로 근사록(近思錄), 상례(喪禮). 가례(家禮), 성리학(性理學) 등에 관하여 문답하였다. 권41은 답최문숙규서(答崔文叔奎瑞) 등 12편으로 상례(喪禮), 논어(論語), 맹자(孟子), 소학(小學), 대학(大學), 근사록(近思錄) 등에 대한 문답이다. 권42는 답심명중(答沈明仲) 등 13편으로 상례(喪禮), 혼례(昏禮), 제례(祭禮), 중용(中庸), 맹자(孟子), 주역(周易)에 대한 문답이다. 권43은 답임대년(答任大年) 등 6편으로 근사록(近思錄), 대학(大學), 상례(喪禮) 등에 대한 문답이다. 권44는 답김직경(答金直卿) 등 8편으로 맹자(孟子), 중용(中庸), 근사록(近思錄), 상례(喪禮) 등에 관한 문답이다. 권45는 답김사직(答金士直) 등 4편으로 대학(大學), 중용(中庸), 상례(喪禮), 주자가례(朱子家禮) 등에 대한 문답이다. 권46은 답이사장(答李士章綎) 등 5편으로 시(詩), 소학(小學), 상례(喪禮), 개장례(改葬禮) 등에 대한 문답이다. 권47은 답정경유(答鄭慶由) 등 5편으로 대학(大學), 이학통록(理學通錄), 주자절요(朱子節要) 등에 대한 문답이다. 권48은 답김숙함(答金叔涵) 등 9편으로 중용(中庸), 태극도(太極圖), 대학(大學), 근사록(近思錄), 상례(喪禮), 혼례(昏禮) 등에 대한 문답이다. 권49은 답이인보(答李仁甫) 등 9편으로 대학(大學), 제례(祭禮), 국휼례(國恤禮), 개장례(改葬禮), 상례(喪禮)에 대한 문답이다. 권50은 답이수옹(答李壽翁) 등 15편으로 대학(大學), 소학(小學), 맹자호연장(孟子浩然章), 가례(家禮), 성리학(性理學) 등에 대한 문답이다. 권51은 답나인경(答羅仁卿) 등 13편으로 심경(心經), 가례(家禮), 혼례(昏禮), 예기(禮記) 등에 대한 문답이다. 권52는 답이경희(答李敬喜) 등 23편으로 대학(大學), 주역(周易), 예기(禮記), 상례(喪禮). 제례(祭禮) 등에 대한 문답이다. 권53~권65는 잡저(雜著)로 권53에는 성학지행로맥지도(聖學知行路脈之圖), 성현출처지도(聖賢出處之圖), 도총전후상승지도(道統前後相承之圖), 중용지도(中庸總圖) 등 8편의 그림이 실려 있고, 경전요목(經傳要目)에는 소학(小學),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근사록(近思錄), 속근사록(續近思錄), 주역(周易), 서(書), 시(詩), 의례(儀禮), 주례(周禮), 예기(禮記), 악경(樂經), 춘추(春秋) 등에 대하여 그에 관계되는 요목들을 열거하고 있다. 권54는 편록(編錄)에 관한 잡저로 수필록(隨筆錄) 1편이 실려 있다. 권55에는 우리 나라와 중국의 역대 학자들의 설(說)을 이끌어다 성리학에 관한 이론을 펼친 설(說)에 관한 교병설(矯病說) 등의 잡저 17편이 실려 있다. 이는 경전(經傳), 성리학, 예(禮)에 관한 설이다. 권56에는 복제사의(服制私議), 부사위조위모이복의(父死爲祖爲母異服議) 등 의(議)에 관계되는 잡저 3편이 실려 있는데, 이는 모두 예(禮)에 관한 논의이다. 권57에는 기사(記事)에 관한 잡저 집평일우기(集平日偶記), 기소시소문(記少時所聞) 등 2편이 실려 있다. 권58에도 기사에 관한 잡저 기효종초시사(記孝宗初時事) 등 8편의 글이 실려 있다. 권59에는 변(辨)에 관한 잡저 반남선생불서정북원서변(潘南先生不署呈北元書辨) 등 7편이 실려 있다. 권60에는 석의(釋義)에 관한 잡저 퇴계사서질의의(退溪四書質疑義) 등 3편이 실려 있고, 권61에도 석의에 관한 잡저 주자대전의 상하(朱子大全義 上下) 2편이 실려 있으며, 권62에도 석의에 관한 잡저 의례상복부위장자석의(儀禮喪服父爲長子釋義), 주자걸토론상복차석의(朱子乞討論喪服箚釋義) 2편이 실려 있다. 권63에는 고증(考證)에 관한 잡저 서원고증(書院考證), 논조망부유폐질부당대복천자고증(論祖亡父有廢疾不當代服?遷者考證) 2편이 실려 있고, 권6에도 고증에 관한 잡저 3편 사우고증(師友考證), 장릉보호존숭고증(章陵補號尊崇考證), 경사참교(經史參巧)가 실려 있다. 권65에는 범례(凡例)와 규약(規約)에 관한 잡저 근사록석의고정범례(近思錄釋疑考正凡例) 등 11편이 실려 있다. 권66에는 왕숙부(王叔父), 한광무(漢光武)의 사론(史論) 2편과 송김구지부연(送金久之赴燕) 등 서(序) 15편이 실려 있다. 권67에는 백천군문회서원기(白川郡文會書院記), 현석창랑정기(玄石滄浪亭記) 등 기(記) 7편이 실려 있다. 권68에는 서소학제사후(書小學題辭後) 등의 제발(題跋) 25편이, 권69에는 서경곡시사후(書耕谷詩史後), 제무심서후(題武心書後), 발심학지결(跋心學至訣) 등 제발(題跋) 38편이 실려 있다. 권70에는 사자연명(獅子硯銘) 등 명(銘) 3편과 사십잠(四十箴) 등 잠(箴) 2편, 조씨빙폐서(趙氏聘幣書) 등 혼서(昏書) 7편, 노강서원상량문(魯岡書院上樑文) 등 상량문(上樑文) 2편, 고고조첨정공환안문(告高祖僉正公還安文) 등 축문(祝文) 31편이 실려 있다. 권71에는 손조반남선생포증기사비(先祖潘南先生褒贈紀事碑) 등 제문(祭文) 39편이 실려 있다. 권72에는 선조반남선생포증기사비(先祖潘南先生褒贈紀事碑)의 비(碑) 1편, 신도비(神道碑), 묘비(墓碑), 지중추부사시정혜성공신도비명(知中樞府事謚靖惠成公神道碑銘) 등의 비음기(碑陰記) 9편이 실려 있다. 권73에는 효자광주정군묘갈명(孝子廣州鄭君墓碣銘) 등 묘갈명(墓碣銘) 10편이, 권74에는 소격서참봉개암강공묘갈명(昭格署參奉介菴姜公墓碣銘) 등 묘갈명(墓碣銘) 후기(後記) 15편이 실려 있다. 권75에는 호조판서연성군증영의정시중정이공묘표(戶曹判書延城君贈領議政謚忠靖李公墓表) 등 묘표(墓表) 13편이, 권76에는 돈령부도정박공묘지명(敦寧府都正朴公墓誌銘) 등 묘갈명(墓碣銘) 11편이 실려 있다. 권77에는 의정부좌의정원평부원공묘지명(議政府左議政原平府院君元公墓誌銘) 등 묘지명墓誌銘) 13편이, 권78에는 개성부유수이공묘지명(開城府留守李公墓誌銘) 등의 묘지명(墓誌銘) 8편이, 권79에는 고조고사간원사간증영의정치천선생묘지명(高祖考司諫院司諫贈領議政冶川先生墓誌銘) 등 묘지명(墓誌銘) 9편이 실려 있다. 권80에는 선고사헌부장령부군행장(先考司憲府掌令府君行狀) 등 행장(行狀) 5편이, 권81에는 홍문관부수찬증이조판서시문정하서선생공행장(弘文館副修撰贈吏曹判書謚文靖河西先生公行狀) 등 행장(行狀) 3편이, 권82에는 홍문관전한성암이공행장(弘文館典翰惺菴李公行狀) 등의 행장(行狀) 5편이 실려 있다. 권83에는 류선생조?전(柳先生祖?傳), 서호삼고사전(西湖三高士傳) 등 전(傳) 4편이 실려 있다. 권84에는 정암조선생연보(靜菴趙先生年譜)의 연보(年譜) 1편이, 권85에는 율곡이선생연보상(栗谷李先生年譜上)이, 권86에는 율곡이선생연보하(栗谷李先生年譜下)가 실려 있다. 권87에는 수방인재사목(搜訪人才事目), 이조인수방인재이팔도문(吏曹因搜訪人才移八道文)의 공이(公移) 2편이 실려 있다.
속집(續集) 권1에는 만김성천필진(挽金成川必振) 등 시(詩) 83수가, 권에는 반시중외계물붕당교서(頒示中外戒勿朋黨敎書)의 차서(箚書) 1편, 사의정부우찬성소(辭議政府右贊成疏) 등 소(疏) 24편, 권3에는 질작부득참국차(疾作不得參鞫箚), 진별단계사본차(進別單啓四本箚) 등 차(箚) 2편이, 권4에는 신논전월연중미구지설차(申論前月筵中未究之說箚) 등 차(箚) 25편이 실려 있다. 권5~권6은 연중강계(筵中講啓)로, 권5에는 갑술윤오월이십구일희정당인견(甲戌閏五月二十九日熙政堂引見), 칠월이십삼일희정당인견(七月二十三日熙政堂引見) 등 4편이, 권6에는 갑술팔월초칠일(甲戌八月初七日) 선정전화강(宣政殿晝講)부터 십일월초십일(十一月初十日) 희정당계복(熙政堂啓覆)까지 8편이 실려 있다. 권7에는 목래선론죄의(睦來善論罪議), 은율인시주혁읍파수당부의(恩津人弑主革邑罷守當否議) 등 의(議) 2편과 사관전유소비후서계(史官傳諭疏批後書啓) 등 서계장계(書啓狀啓) 17편이 실려 있다. 권8~권11은 서(書)로, 권8에는 답이동보희조(答李同甫喜朝), 답남영상구만(答南領相九萬) 등 43편이, 권9에는 여최화(與崔和) 등 73편이, 권10에는 여서군망종태(與徐君望宗泰) 등 49편이, 권11에는 답김직경(答金直卿) 등 61편이, 권12는 답김여정극성(答金汝精克成) 등 20편이 실려 있다. 이 서(書)들은 모두 당시의 사건들을 논의한 것이거나 경전(經傳)에 관한 문답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권13~권18은 문답(問答)으로, 권13에는 답이수옹(答李壽翁) 등 상례(喪禮), 서(書), 대학(大學), 중용(中庸)에 대하여 논의, 문답한 17편이 실려 있고, 권14에는 답양여정택지(答梁汝精擇之) 등 논어(論語), 소학(小學), 상례(喪禮), 제례(祭禮) 등에 관하여 문답한 15편이 실려 있다. 권15에는 심경(心經)에 대하여 문답한 답정진경(答鄭眞卿)이 실려 있고, 권16에는 가례(家禮)에 대하여 논의한 답정진경(答鄭眞卿)이 실려 있다. 권17에는 답김사직(答金士直) 등 심경(心經), 상례(喪禮), 가례(家禮) 등에 대하여 문답한 16편이 실려 있고, 권18에는 답강력형제(答姜력兄弟) 등 대학독서기(大學讀書記), 상례(喪禮) 등에 대하여 문답한 12편이 실려 있다. 권19에는 안자전수위인도수록(顔子傳授爲仁圖手錄) 등 잡저(雜著) 7편이 실려 있고, 권20에는 학법총설(學法總說), 기율곡선생입산시사(記栗谷先生入山時事), 서원고증보(書院考證補) 등의 잡저(雜著) 3편과 제재명재시권후(題滓溟齋詩卷後), 발율곡수사퇴계사칠론(跋栗谷手寫退溪四七論) 등 제발(題跋) 7편, 갑술원조잠(甲戌元朝箴)의 잠(箴) 1편, 재영경현서원이안고문(載寧景賢書院移安告文) 등 축문(祝文) 4편이 실려 있다. 권21에는 평안도관찰사김공신도비명(平安道觀察使金公神道碑銘) 등 신도비명(神道碑銘) 3편과 순릉참봉박공묘갈명(順陵參奉朴公墓碣銘) 등 묘갈명(墓碣銘) 7편이 실려 있다. 권22에는 진사이공묘표(進士李公墓表) 등 묘표(墓表) 10편과 빙고별검심공묘표후기(氷庫別檢申公墓表後記)의 묘표후기(墓表後記) 1편, 단양군수이공묘지명(丹陽郡守李公墓誌銘) 등 묘지명(墓誌銘) 4편, 양비유인조씨행장(養?孺人趙氏行狀)의 行狀 1편이 실려 있다.
외집(外集)의 권1에는 상사차소릉곡강운(上巳次少陵曲江韻) 등 시(詩) 85수와 행도고양사재제사헌부장령소(行到高陽辭再除司憲府掌令疏) 등 소(疏) 3편이 실려 있다. 권2~권6는 서(書)로 당시의 사건들을 논의한 것이다. 권2에는 답원빙군두추(答元聘君斗樞) 등 14편이. 권3에는 답김상동수항(答金相同壽恒) 71편이, 권4에는 여신중임별지(與愼仲任別紙) 등 39편이. 권5에는 답윤자인별지(答尹子仁別紙) 등 51편이, 권6에는 (答朴一和尙淳 등) 27편과 답김경능만증(答金景能萬增) 등 문답(答問) 8편이 실려 있다. 권7~권9는 문답(答問)으로, 권7에는 답이여구(答李汝九) 등 27편이, 권8에는 답강숙중석명(答姜叔重錫明) 등 29편이, 권9에는 답민수경채만(答閔受卿采萬) 등 21편이 실려 있는데, 이는 모두 경전(經傳)과 예(禮)에 관한 문답이다. 권10~권11은 잡저(雜著)로, 권10에는 이낙연원도(伊洛淵源圖), 논경촬요(論敬提要) 등 9편이, 권11에는 율곡선생연보고승삼(栗谷先生年譜考證三) 등 6편이 실려 있다. 권12에는 위진(魏晉)에 대한 사론(史論) 1편과 송종조형여도귀영호남서(送從祖兄汝道歸榮湖南序) 등의 서(序) 5편, 한산지족당기(韓山知足堂記) 등 기(記) 2편, 제회옹답횡자경서(題晦翁答黃子耕書), 발신결서침어촌신묘사후(跋神訣書沈漁村辛卯事後) 등 제발(題跋) 15편, 고외오대조비허씨묘문(告外五代祖?許氏墓文), 개정제례고선묘문(改定祭禮告先墓文) 등 축문(祝文) 4편, 제신세마승문(祭申洗馬昇文), 제이형조관찰구석문(祭姨兄趙觀察龜錫文) 등 제문(祭文) 8편이 실려 있다. 권13에는 의금부도사증좌승지송공묘갈명(義禁府都事贈左承旨宋公墓碣銘) 등 묘갈명(墓碣銘) 12편과 용양위부사과증이조참판최공묘표(龍양衛副司果贈吏曹參判崔公墓表) 등 묘표(墓表) 11편이, 권14에는 공인이씨묘지명(恭人李氏墓誌銘) 등 묘지명(墓誌銘) 18편이 실려 있다. 권15에는 지중추부사현곡조공행장(知中樞府事玄谷趙公行狀) 등 행장(行狀) 4편이, 권16에는 선조고려판전교사사조선증영의정부사금성부원군반남선생사적(先祖高麗判典校寺事朝鮮贈領議政府事錦城府院君潘南先生事蹟) 등 행장(行狀) 5편과 심군석소전(沈君鐸小傳), 도순변사신공전(都巡邊使申公傳)의 전(傳) 2편이 실려 있다.
이 저술은 방대한 양만큼이나 그의 유학사적, 정치사적 위치를 알려주는 자료이다.